6월10일(일)

1. 산행지 : 금학산(金鶴山·947m) 철원 -고대(832m) 연천

2. 참석자 : 서울 옥영수, 최병규, 박성근(비단우, 100좌 도전) 

3. 산행일시 : 2012년 6월 10일(일)

4. 개요  : 금학산은 강원도 철원의 대표적인 명산. 학이 막 내려앉는 산형을 하고 있다해서 붙여진 금학산(金鶴山·947m)이다. 산 속으로 들어서면 마애석불, 부도탑갓, 상정바위, 안양사 절터, 신적골계곡, 용탕, 칠성대 등이 있고 곳곳에 밧줄과 매바위 능선, 큰바위 능선, 용바위, 용아릉 등 암릉이 연이어져있는 산이다. 가까이 고대산과 백마고지가 위치하고  민통선과 인접해 있다

고대산은 금강산 가는 길목, 경원선 철도가 끊겨 있는 철도중단점인 경기도 연천군 신서면 대광리  신탄리역에 인접한 고대산(832.1m)은 천혜의 자연경관을 간직하고 있으며 생태계가 잘 보존된 곳이고, 등산으로 북녘땅을 바라볼 수 있는 곳으로 등산,여행에는 안성맞춤이다.

서울에서 원산까지의 경원선 철도가 더 이상 달리지 못하고 멈추는 곳에 고대산(832m)이 솟아있다. 경기도 최북단인 연천군 신서면 신탄리와 강원도 철원군 사이에 있는 이 산꼭대기에서는 철원평야와 북녘땅이 잘 보인다.

휴전선과 가장 가까운 곳에 있기 때문에 여태껏 사람들에게 잘 알려지지 않았다는 것이 이 산이 간직한 가장 큰 매력이기도 하다. 3코스를 오르거나 내려오다만나는 표범폭포는 높이 20m로 물이 맑고, 주위에 그늘이 져서 쉬어 가기에 좋다.

폭포에서 30분쯤 잡목지대를 오르면 갈림길이 나온다. 고대산 정상은 오른쪽 길로 간다. 능선길에서는 6.25 때 격전지인 백마고지가 보인다. 고대산 정상에 서면 금학산(947m)과 지장봉(877m)이 시야에 들어온다. 

고대산(高臺山)의 유래는 "큰고래"라고 부르고 있으나 이것은 신탄(薪炭)지명에서 연루된 것으로 보이며 "방고래"(땔나무를 사용하는 온돌방 구들장 밑으로 불길과 연기가 통하여 나가는 고랑을  고래하고 함)를  이르는 것으로 고대산은 골이 깊고 높아 고대산 (高臺山)이라고 한다.

 지형도에는 "높은 별자리와 같다"는 뜻과 의미가 담긴 곳이라 하여 고태(高台)라고도 표기하였다. 고대산은 옛부터 광범한 산록과 울창한 산림으로 말미암아 임산자원이 풍부할뿐만 아니라, 목재와 숯을 만드는데도 적합한 곳으로, 부락으로 형성된 주막집들이 있다하여 신탄막(薪炭幕)이라는 지명으로 불리웠으며, 실질적으로 한국전쟁 이전에는 참숯이 유명했던 고장으로 널리 알려진 곳이다

또한,  1907년 11월 4일 의병진 150명과 임진강에서 의병들을 토벌하러 파견된 일본군 보병 제 20연대 8중대와 연천에서 격전한 후, 신탄막에서 흩어지고 의병진 60명이 고대산에서 다시 일본군대와 치열하게 교전한 곳으로써 우리 선열들의 용맹스러운 민족 정기가 서려 있는 곳이기도 한 고대산을 향한다.

 

신탄리역에서 동송가는 버스를 11시45분에 타고  철원(동송)으로 간다. 동송종점에 도착하여 철원여고 금학체육공원으로 들머리를 잡는다. 금학산에 오르니 1시간50분 정도 걸렸다. 정상에는 헬기장과 군부대가 진을치고 있다. 인증삿을 찍고 보개산을 향해 하산한다.무더운 날에 산에 오르기란 땀으로 몸을 적시는 거..어제 마신 술이 화근인가..

금학산에서 보개산을 오르기 위해 가파르게 하산한다. 보개산 들머리에서 잠시 쉬고 오르다 보니 보개산이다. 좌로는 지장산으로 가는 길. 우측으로 고대산 가는 길 고대산을 향하여 열심히 간다.  

가다보니 고대산이 발아래 와있다. 또 부지런히 하산한다. 고대산을 산행하고 먼저 하산한 서울YKA멤버들 신탄리역앞에서 뒷풀이 하고 있다. 오리로스에 술 한잔..  

** (서울) 최병규 산행지 : 충북 양성산(전국대회10점), 인천 계양산(1점), 서울 북한산(필수5점)), 동두천 소요산(1점), 가평 청우산(1점), 강화도 마니산(필수5점), 지리산 천왕봉(필수5점), 반야봉(타지역2점), 노고단(타지역2점), 만복대(타지역2점), 바래봉(타지역2점),강화도 고려산(1점), 가평 중미산(1점), 가평 유명산(1점), 서울 불암산(1점), 서울 수락산(1점), 양주 불곡산(1점), 서울 관악산(1점), 춘천 검봉산(1점), 춘천 봉화산(1점), 정선 민둥산(1점), 부산 금정산(전국대회 10점), 양평 청계산(1점), 강원 태백산(5점), 가평 운악산(1점), 남양주 운길산(1점), 남양주 예봉산(1점), 천안 성거산(2점), 천안 흑성산(2점), 춘천 금병산(1점), 포천-남양주 주금산(1점), 충북제천 금수산(필수5점), 가평,남양주 축령산(1점), 가평 설악 곡달산(1점), 가평 설악면 화야산(1점), 충남 예산(수덕산)덕숭산(2점), 충남 예산.홍성 용봉산. 양평 양자산(1점), 포천 관음산(1점), 대전 만인산(전국대회10점), 가평 명지산(1점), 가평 연인산(1점), 대구 팔공산(필수5점), 홍천 공작산(1점), 홍천 팔봉산(1점), 철원 금학산(1점), 연천 고대산(1점)- 47좌 산행

 *** 현재 점수 : 106점

 

 

 

 

 

 

 

 

 

 

 

 

 

 

 

 

 

 

 

 

 

 

 

 

 

 

 

 

 

 

 

 

 

 

 

 

 

 

 

 

 

 

 

 

 

 

 

 

 

 

'산행길'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각호산-민주지산-석기봉-삼도봉 종주  (0) 2012.06.18
홍천 팔봉산  (0) 2012.06.08
홍천 공작산  (0) 2012.06.08
100대 명산  (0) 2012.05.29
가평 명지산-연인산 종주  (0) 2012.05.28

 6월17일(일)

1. 산행지 : 각호산(1202m) - 민주지산(1241,7m) - 석기봉(1242m) - 삼도봉(1178m) 충북 영동군 상촌면, 전북 무주군 설천면, 경북 김천시 부항면

2. 참석자 : 서울( 옥영수, 최병규) 외 온라인산악회 44명

3. 산행일시 : 2012년 6월 17일(일)

4. 개요 : 각호산은 산간 오지에 있어 찾는 사람이 드문 산 중의 하나인데 정상은 두개의 암봉으로 되어 있다. 정상 암봉에 서면 남쪽으로 약 3km 지점에 민주지산이 있고, 충북과 전북의 도계를 이루면서 석기봉, 삼도봉으로 이어 나간 산맥이 성벽 같이 이어져 있다. 정상에서 남쪽 주능선 길로 가면 각호골을 통해 물한리와 조동리로 내려가는 갈림길이 있다.

민주지산은 산림청 선정 100 명산중에 30위에 드는 명산이다.

1000m 이상의 고산준봉을 거느리고 울창한 산림과 바위가 어우러져 있으며, 국내 최대 원시림 계곡인 물한계곡이 있는 점 등을 고려하여 100대 명산에 선정되었다. 물이 차다는 한천마을 상류에서부터 약 20㎞를 흐르는 깊은 계곡으로, 원시림 등이 잘 보존된 손꼽히는 생태관광지인 물한계곡(勿閑溪谷)이 특히 유명. 정상 남쪽 50m쯤 아래에는 삼두마애불상이 있음. 충북, 전북, 경북의 경계인 삼도봉과 연접되어 있다. 민주지산은 진달래 명산으로 진달래가 북으로 각호산,남동쪽으로 석기봉과 삼도봉으로 이어지며 8㎞의 주능선을 그리고 있다. 석기봉과 삼도봉을 잇는 능선은 산죽과 진달래길이다.다른 산의 진달래가 무리지어 군락을 이루는데 반해 이곳 진달래는 능선을 따라 도열해있는 것이 특징이다.

"삼도봉". 정상에는 동서화합을 염원하는 "화합탑"이 있다.삼도를 상징하는 거북과 용, 검은 여의주로 만들었다. 매년 10월10일엔 삼도의 산악인과 주민들이 올라와 제를 지내며 화합을 기원하는 행사를 연다. 삼남지방 방언의 갈래길로 정상에 서면 삼도말씨를 모두 만난다. 산 자체는 소박한 얼굴의 "무욕의 산" 산 아래엔 사시사철 맑고 찬물이 흐르는 "물한계곡"이 있다.

민족화합을 상징하는 삼도봉(1,177m), 민주지산(1,242m)의 한 봉우리로 충청, 전라, 경상도를 아우르는 분수령. 북에서 내려온 산줄기를 받아 한줄기는 대덕산으로 가르고 다른 한줄기는 덕유산으로 갈라 지리산과 맥을 이어준다.

이곳은 조선 태종 14년(1414)에 조선을 8도로 분할하면서 삼남의 분기점이 됐다.삼국시대엔 신라 백제가 격전을 치르며 세력균형을 유지했다. 이후 역사가 흐르면서 삼도의 지리적·행정적 경계인 동시에 방언의 갈래길로 굳어졌다.봄철엔 진달래 철쭉이 산을 덮는다.옛날엔 호랑이가 누비고 다니던 백두대간 능선길. 민주지산 끝자락 각호봉에는 호랑이가 살았다는 전설이 있다.

 

7시30분에 강남 전철3호선 신사역을 출발한다. 오늘 각호산과 민주지산, 석기봉, 삼도봉을 종주한다. 들머리를 각호산으로 하고 날머리를 삼도봉으로 해서 물한계곡으로 잡는다. 각호산을 오르기 위해 10시53분에 도착한 곳은 영동군 소재 해발 800m의 도마령이다. 단체사진을 찍고 각호산을 향해 오른다. 11시에 산행시작 하자마자 상용정 정자를 만나고 오르기 시작 각호산 정상 부근에서 가파르다 밧줄을 잡고 올라야한다. 마침내 11시40분에 각호산 정상에 오르니 인증삿을 찍는 산행객들이 여럿있다. 마침내 인증삿을 찍고 가파른 밧줄을 잡고 내려온다. 각호산에서 밧줄을 타고 내려오면 민주지산으로 향해 능선을 오르락 내리락 하면서 1186m의 봉을 오르고 내리는 능선을 걷는다. 물한계곡으로 내려가는 갈림길도 나오고 쉼없이 걷다 잠시 막걸리 한잔 하고선 13시6분에 민주지산 정상에 오른다. 잠시 둘러보고 인증삿! 찰칵..ㅎㅎㅎ 나의 디카는 셔터를 누르는 순간 소리가 나지 않는다. 찍는 사람마다 찍었는지 모른다. 그래서 두세번 찍는다. 그렇게 인증삿을 찍고 점심을 먹을 곳을 찾는다. 민주지산에서 조금 내려와 그늘진 곳에서 점심을 물에 말아 먹으니 갈증해소 배고픔 해소 그 맛은 먹어 본 사람은 안다..점심 먹는데 30여분 소요한다. 다시 능선 길을 걷는다.

삼도봉은 소박한 얼굴을 지닌 "무욕의 산"이라한다. 기암절벽이나 폭포 따위를 볼 수도 없다 그리 매력이은 없으나 여느 산처럼 빼어난 절경이나 화려한 불교유적도 없는 그런 산이라 한다. 석기봉에 머리 세 개를 가진 마애불(삼안마애불)이 있다 하는데 오늘은 보지 못하고 산행을 한다.

물이 마를 때마다 삼도 인근마을을 번갈아 가며 상이 생긴다는 약수터가 석기봉에 있다고 하는데 이곳 마저 보지 못하고 오른다. 석기봉에서 깃발없는 인증삿을 찍고 삼도봉을 향한다.

 조금만 가면 삼도봉이다. 우선 삼도봉에 오르면 흥사단 산악회가 삼도화합의 뜻으로 삼도봉을 모산으로 삼고 그 기념으로 식수를 한 나무가 잘 자라고 있는지 확인을 한다. 그런데 그 나무가 시들어 바짝 말라있다. 죽어있다. 이를 어쩐다. 재작년 전국대회에 왔을 때는 잘 자라고 있었는데 작년 한해를 걸러서 그런지 말라 죽어있다. 올 11월에 전국대회를 삼도봉에서 하는데 다시 식수를 해야하나..안타갑다. 편치않은 마음으로 사진을 찍고 물한계곡으로 하산한다. 가물어서 그런지 계곡물이 적게 흐른다. 물이 많을 때는 내를 건널 수가 없어 지금은 목교를 계곡에 두개 설치해 놓았다. 거의 내려와서 계곡 초입에 세워진 작은 절 황룡사가 눈에 들어온다. 구름다리도 만들어저 있다.

** (서울) 최병규 산행지 : 충북 양성산(전국대회10점), 인천 계양산(1점), 서울 북한산(필수5점)), 동두천 소요산(1점), 가평 청우산(1점), 강화도 마니산(필수5점), 지리산 천왕봉(필수5점), 반야봉(타지역2점), 노고단(타지역2점), 만복대(타지역2점), 바래봉(타지역2점),강화도 고려산(1점), 가평 중미산(1점), 가평 유명산(1점), 서울 불암산(1점), 서울 수락산(1점), 양주 불곡산(1점), 서울 관악산(1점), 춘천 검봉산(1점), 춘천 봉화산(1점), 정선 민둥산(1점), 부산 금정산(전국대회 10점), 양평 청계산(1점), 강원 태백산(5점), 가평 운악산(1점), 남양주 운길산(1점), 남양주 예봉산(1점), 천안 성거산(2점), 천안 흑성산(2점), 춘천 금병산(1점), 포천-남양주 주금산(1점), 충북제천 금수산(필수5점), 가평,남양주 축령산(1점), 가평 설악 곡달산(1점), 가평 설악면 화야산(1점), 충남 예산(수덕산)덕숭산(2점), 충남 예산.홍성 용봉산. 양평 양자산(1점), 포천 관음산(1점), 대전 만인산(전국대회10점), 가평 명지산(1점), 가평 연인산(1점), 대구 팔공산(필수5점), 홍천 공작산(1점), 홍천 팔봉산(1점), 철원 금학산(1점), 연천 고대산(1점), 영동 각호산(2점), 영동,무주,김천 삼도봉(필수5점) -50좌 산행

 *** 현재 점수 : 115점 

 

 

 

 

 

 

 

 

 

 

 

 

 

 

 

 

 

 

 

 

 

 

 

 

 

 

 

 

 

 

 

 

 

 

 

 

 

 

 

 

 

 

 

 

 

 

 

 

 

 

'산행길'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금학산 - 고대산 산행  (0) 2012.06.19
홍천 팔봉산  (0) 2012.06.08
홍천 공작산  (0) 2012.06.08
100대 명산  (0) 2012.05.29
가평 명지산-연인산 종주  (0) 2012.05.28

1. 산행지 : 팔봉산(m) 홍천

2. 참석자 : 서울( 옥영수, 최병규), 울산( 박정선, 이채옥, 이광석, 박경호, 송정태)

           청주( 조성일, 이규오, 김태권, 유돌상, 안병서), 춘천( 홍순형 )

3. 산행일시 : 2012년 6월 6일(일)

4. 개요 : 나지막하고 규모도 작으나 여덟개의 바위봉이 팔짱 낀 8형제처럼 이여져 있고 홍천강과 연접하여 경관이 아름다운 점 등을 고려하여 100대 명산에 선정된 팔봉산을 오른다.

공작산을 떠나 팔봉산으로 향하면서 길 찾기 알바를 하면서 팔봉산 입구에 도착한다. 간단히 준비하고 2봉과 3봉 오르는 등산로로 오르다 중간지점에서 유돌상 단우가 사가지고 온 아이스케키를 입에 물고 오른다. 3봉이 팔봉산의 고봉이므로 3봉에서 인증삿을 찍고 하산하기로 한다. 내려와서 홍천 막걸리에 막국수 한그릇을 만나게 먹는다. 다음달 세번째 일요일에 월악산에서 "서울청춘" 모이자고 약속한다.. 헤어짐의 윤회악수를 하고 울산팀 출발하고 서울팀 출발한다. 청주팀 따라 줄발..오늘 "서울청춘" 홍천의 공작산과 팔봉산 완좌를 축하한다. "서울청춘" 화이팅!!!!  

** (서울) 최병규 산행지 : 충북 양성산(전국대회10점), 인천 계양산(1점), 서울 북한산(필수5점)), 동두천 소요산(1점), 가평 청우산(1점), 강화도 마니산(필수5점), 지리산 천왕봉(필수5점), 반야봉(타지역2점), 노고단(타지역2점), 만복대(타지역2점), 바래봉(타지역2점),강화도 고려산(1점), 가평 중미산(1점), 가평 유명산(1점), 서울 불암산(1점), 서울 수락산(1점), 양주 불곡산(1점), 서울 관악산(1점), 춘천 검봉산(1점), 춘천 봉화산(1점), 정선 민둥산(1점), 부산 금정산(전국대회 10점), 양평 청계산(1점), 강원 태백산(5점), 가평 운악산(1점), 남양주 운길산(1점), 남양주 예봉산(1점), 천안 성거산(2점), 천안 흑성산(2점), 춘천 금병산(1점), 포천-남양주 주금산(1점), 충북제천 금수산(필수5점), 가평,남양주 축령산(1점), 가평 설악 곡달산(1점), 가평 설악면 화야산(1점), 충남 예산(수덕산)덕숭산(2점), 충남 예산.홍성 용봉산. 양평 양자산(1점), 포천 관음산(1점), 대전 만인산(전국대회10점), 가평 명지산(1점), 가평 연인산(1점), 대구 팔공산(필수5점), 홍천 공작산(1점), 홍천 팔봉산(1점) - 45좌 산행

 *** 현재 점수 : 104점 

 

 

 

 

 

 

 

 

 

 

 

 

 

 

 

 

 

 

 

 

 

 

 

 

 

 

 

'산행길'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금학산 - 고대산 산행  (0) 2012.06.19
각호산-민주지산-석기봉-삼도봉 종주  (0) 2012.06.18
홍천 공작산  (0) 2012.06.08
100대 명산  (0) 2012.05.29
가평 명지산-연인산 종주  (0) 2012.05.28

1. 산행지 : 공작산(887m) 홍천

2. 참석자 : 서울( 옥영수, 최병규), 울산( 박정선, 이채옥, 이광석, 박경호, 송정태), 청주( 조성일, 이규오, 김태권, 유돌상, 안병서), 춘천( 홍순형 )

3. 산행일시 : 2012년 6월 6일(일)

4. 개요 : 울창한 산림과 수타계곡 등 경관이 수려한 점 등을 고려하여 100대 명산으로 선정된 공작산은 산의 형세가 마치 한 마리의 공작이 날개를 펼친 듯하다는데서 산 이름이 유래한다. 보물 제745호인 월인석보 제17권과 18권이 보존되어 있는 수타사(壽陀寺)와 수타사에서 노천리에 이르는 20리계곡인 수타계곡이 특히 유명하다. 오늘 산행은 노천리 저수지 위 공작릉으로 오르고 공작골 휴양림으로 회귀 산행을 한다.

서울 공덕역 8번출구에서 8시30분에 홍순형단우와 옥영수 단우를 만나 홍천 공작산으로 간다. 11시에 집결하기로한 홍천 동면사무소에 있는 속초분교에 도착하니 청주팀이 도착해 있고 좀 있다 울산 팀이 도착한다. 바로 노천리 공작산 입구에 도착하니 10시57분 우리는 윤회악수를 하고 물에산에 YKA를 우렁차게 외처본다.

산행 들머리를 공작릉으로 오르고 공작골(궁지기)로 회귀하는 산행으로 잡고 오른다. 옥영수 단우가 착안한 오늘의 슬로건은 "서울청춘"이다. 서울, 울산, 청주, 춘천의 앞 글자를 따서 "서울청춘" 좋다..오르다 막걸리 한잔에 웃음이 넘친다. 정상을 오르고  먹는 점심은 이채옥단우가 준비한 상추쌈을 하나씩 싸서 12명의 입으로 들어가게 한다..조성일 단우의 100좌 완좌를 축하도 하고 공작골(궁지기)로 하산하며 족탕도 하고 이렇게 미련없이 공작산을 떠난다.

** (서울) 최병규 산행지 : 충북 양성산(전국대회10점), 인천 계양산(1점), 서울 북한산(필수5점)), 동두천 소요산(1점), 가평 청우산(1점), 강화도 마니산(필수5점), 지리산 천왕봉(필수5점), 반야봉(타지역2점), 노고단(타지역2점), 만복대(타지역2점), 바래봉(타지역2점),강화도 고려산(1점), 가평 중미산(1점), 가평 유명산(1점), 서울 불암산(1점), 서울 수락산(1점), 양주 불곡산(1점), 서울 관악산(1점), 춘천 검봉산(1점), 춘천 봉화산(1점), 정선 민둥산(1점), 부산 금정산(전국대회 10점), 양평 청계산(1점), 강원 태백산(5점), 가평 운악산(1점), 남양주 운길산(1점), 남양주 예봉산(1점), 천안 성거산(2점), 천안 흑성산(2점), 춘천 금병산(1점), 포천-남양주 주금산(1점), 충북제천 금수산(필수5점), 가평,남양주 축령산(1점), 가평 설악 곡달산(1점), 가평 설악면 화야산(1점), 충남 예산(수덕산)덕숭산(2점), 충남 예산.홍성 용봉산. 양평 양자산(1점), 포천 관음산(1점), 대전 만인산(전국대회10점), 가평 명지산(1점), 가평 연인산(1점), 대구 팔공산(필수5점), 홍천 공작산(1점)  - 44좌 산행

  *** 현재 점수 : 103점 

 

 

 

 

 

 

 

 

 

 

 

 

 

 

 

 

 

 

 

 

 

 

 

 

 

 

 

 

 

 

 

'산행길'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각호산-민주지산-석기봉-삼도봉 종주  (0) 2012.06.18
홍천 팔봉산  (0) 2012.06.08
100대 명산  (0) 2012.05.29
가평 명지산-연인산 종주  (0) 2012.05.28
흥사단YKA산악회 1,000회차 산행을 다녀온다.  (0) 2012.05.14

1. 가리산 1,051m 강원 홍천 두촌면, 화촌면
2. 가리왕산 1,561m 강원 정선 북면, 평창 진부면
3. 가야산 1,430m 경남 합천, 거창, 경북 성주 [국립공원]
4. 가지산 1,240m 경남 밀양, 울산 울주, 경북 청도 [도립공원]
5. 감악산 675m 경기 파주 적성면, 양주 남면
6. 강천산 584m 전북 순창 북흥면, 전남 담양 용면 [군립공원]
7. 계룡산 845m 충남 공주 반포 계룡면, 논산 [국립공원]
8. 계방산 1,577m 강원 홍천 내면, 평창 진부면
9. 공작산 887m 강원 홍천 화촌면
10.관악산 629m 서울 관악, 경기 시흥, 과천, 안양
11.구병산 876m 충북 보은 내속리 외속리 마로면
12.금 산 701m 경남 남해, 이동면 삼동면
13.금수산 1,016m 충북 제천 수산면, 단양 적성면
14.금오산 977m 경북 구미, 김천 남면, 칠곡 북삼면 [도립공원]
15.금정산 802m 부산 북구, 동래구, 경남 양산 동면
16.깃대봉 368m 전남 신안군 흑산면 홍도
17.남 산 494m 경북 경주
18.내연산 710m 경북 포항, 영덕 남정면 [시립공원]
19.내장산 763m 전북 정읍, 순창 복흥면, 전남 장성 [국립공원]
20.대둔산 878m 충남 금산, 논산, 전북 완주 [도립공원]
21.대암산 1,304m 강원 양구 동면, 해안면, 인제 서화면[양구군]
22.대야산 931m 충북 괴산 청천면, 경북 문경 가은읍
23.덕숭산 495m 충남 예산 덕산면 [도립공원]
24.덕유산 1,614m 전북 무주, 장수, 경남 거창, 함양 [국립공원]
25.덕항산 1,071m 강원 삼척시 하장면.신기면
26.도락산 964m 충북 단양 단양읍, 대강면
27.도봉산 740m 서울 도봉, 경기 의정부, 양주 장흥면
28.두륜산 700m 전남 해남 삼산 현산 북평 옥천면 [도립공원]
29.두타산 1,353m 강원 동해시, 삼척 미로면, 하장면
30.마니산 469m 인천 강화 화도면
31.마이산 685m 전북 진안 진안읍, 마령면 [도립공원]
32.명성산 923m 경기 포천 이동면, 강원 철원 갈말읍
33.명지산 1,267m 경기 가평 북면, 하면 [군립공원]
34.모악산 794m 전북 김제 금산면, 완주 구이면 [도립공원]
35.무등산 1,187m 광주, 전남 담양 남면, 화순 이서면 [도립공원]
36.무학산 761m 경남 마산
37.미륵산 461m 경남 통영 봉평동, 산양읍
38.민주지산 1,242m 충북 영동 용화면, 경북 김천, 전북 무주
39.방장산 743m 전북 정읍 고창, 전남 장성
40.방태산 1,436m 강원 인제
41.백덕산 1,350m 강원 평창 방림면, 평창읍, 영월 수주면
42.백암산 741m 전남 장성 북하면, 전북 정읍 입암면, 순창 복흥면
43.백운산 904m 경기 포천 이동면, 강원 화천 사내면
44.백운산 1,218m 전남 광양 옥룡면 진산면
45.백운산 883m 강원 정선 신동읍, 평창 미탄면
46.변 산 508m 전북 부안
47.북한산 837m 서울 도봉, 은평, 경기 고양 [국립공원]
48.비슬산 1,084m 대구 달성, 옥포 유가 가창면, 청도 각북면
49.사량도 지리산 398m 경남 통영 사량면 돈지리
50.삼악산 645m 강원 춘천 서면
51.서대산 904m 충남 금산 추부면, 군북면 충북 옥천 군서면
52.선운산 336m 전북 고창 [도립공원]
53.설악산 1,708m 강원 속초, 인제, 양양 [국립공원]
54.성인봉 984m 경북 울릉도
55.소백산 1,439m 충북 단양, 경북 영주 [국립공원]
56.소요산 559m 경기 동두천, 포천 청산면
57.속리산 1,057m 충북 보은 내속리면, 경북 상주 화북면 [국립공원]
58.신불산 1,209m 울산 울주 상북면, 삼남면
59.연화산 528m 경남 고성 개천면 [도립공원]
60.오대산 1,563m 강원 홍천, 평창 진부면, 도암면 [국립공원]
61.오봉산 779m 강원 춘천 북산면, 화천 간동면
62.용문산 1,157m 경기 양평 용문면
63.용화산 878m 강원 춘천 사북면, 화천 간동면
64.운문산 1,188m 경북 청도 운문면, 경남 밀양 산내면, 울산 울주
65.운악산 936m 경기 가평 하면, 포천 내촌면
66.운장산 1,126m 전북 진안 주천 부귀 정천면, 완주 동상면
67.월악산 1,094m 충북 제천 한수면, 덕산면 [국립공원]
68.월출산 809m 전남 영암 군서 학산면, 강진 성전면 [국립공원]
69.유명산 862m 경기 가평 설악면, 양평 옥천면
70.응봉산 999m 강원 삼척 가곡면, 경북 울진 북면
71.장안산 1,237m 전북 장수 [군립공원]
72.재약산 1189m 경남 말양시 단장면
73.적상산 1,034m 전북 무주 적상면
74.점봉산 1,424m 강원 인제, 인제읍, 기린면, 양양 양양읍
75.조계산 884m 전남 순천 승주 송광면, 주암면 [도립공원]
76.주왕산 721m 경북 청송 부동면 [국립공원]
77.주흘산 1,106m 경북 문경 문경읍
78.지리산 1,915m 전남 구례,전북 남원,경남 함양,산청,하동 [국립공원]
79.천관산 723m 전남 장흥 관산읍, 대덕읍 [도립공원]
80.천마산 812m 경기 남양주 화도읍,가곡리,호평동,묵현리 [시립공원]
81.천성산 812m 경남 양산 하북면, 웅상면
82.천태산 715m 충북 영동, 충남 금산
83.청량산 870m 경북 봉화 재산면 명호면 [도립공원]
84.추월산 731m 전남 담양 용면, 전북 순창 북흥면
85.축령산 879m 경기 남양주 수동면, 가평군 상면
86.치악산 1,288m 강원 원주, 횡성 우천 [국립공원]
87.칠갑산 561m 충남 청양 대치 정산 적곡면 [도립공원]
88.태백산 1,567m 강원 태백, 경북 봉화 석포면 [도립공원]
89.태화산 1,027m 강원 영월
90.팔공산 1,193m 대구시 동구, 경산, 영천, 신녕, 군위 [도립공원]
91.팔봉산 302m 강원 홍천 서면
92.팔영산 609m 전남 고흥 정암면 [도립공원]
93.한라산 1,950m 제주도 [국립공원]
94.화악산,중봉 1,468m 경기 가평 북면, 강원 화천 사내면
95.화왕산 757m 경남 창녕군 창녕읍 [도립공원]
96.황매산 1,108m 경남 합천군 가회면, 대병면 [도립공원]
97.황석산 1,190m 경남, 함양
98.황악산 1,111m 경북 김천 대항면, 충북 영동 매곡면, 상촌면
99.황장산 1,077m 경북 문경
100.희양산 998m 충북 괴산 연풍면, 경북 문경 가은

 

선정사유 및 특징

일련

번호

산 이름

높이

(m)

위치

(행정구역)

선정사유 및 특징

1

가리산

(加里山)

1,051

강원도

춘천시

홍천군

o 강원도에서 진달래가 가장 많이 피는 산으로 알려져 있고, 참나무 중심의 울창한 산림과 부드러운 산줄기 등 우리나라 산의 전형적인 모습을 갖추고 있으며, 홍천강의 발원지 및 소양강의 수원(水源)을 이루고 있는 점 등을 고려하여 선정

 

o 암봉이 솟아있는 정상에서 소양호를 조망할 수 있고, 야생화가 많이 서식하여 자연학습관찰에도 좋은 여건을 갖추고 있음. '98년 강원도에서 자연휴양림으로 지정

2

가리왕산

(加里旺山)

1,561

강원도

정선군

평창군

o 가리왕산 8경이 전해질 만큼 경관이 수려하고, 활엽수 극상림이 분포해 있으며, 전국적인 산나물 자생지로 유명. 특히 백두대간의 중심으로 주목군락지가 있어 산림유전자원보호림과 자연휴양림으로 지정되는 등 경관·생태적으로 가치가 큰 점에서 선정

o 동강(東江)에 흘러드는 오대천과 조양강의 발원지이며 석회암 절리동굴인 얼음동굴이 유명. 산의 이름은 그 모습이 큰 가리(벼나 나무를 쌓은 더미)같다고 하여 유래

3

가야산

(伽倻山)

1,430

경상북도

성주군

경상남도

거창군

합천군

o 예로부터 우리나라의 12대 명산 또는 8경에 속하는 산으로서 '72년 국립공원으로 지정되었으며, 특히 '95년 세계문화유산으로 지정된 국보 팔만대장경과 해인사가 있는 등 역사·문화적 가치가 높은 점을 고려하여 선정

 

o `가야국'이 있었던 곳으로 전해지며, `택리지'에서는 가야산의 기암괴봉을 불꽃에 비유하여 석화성(石火星)이라 하였음. 산위에서의 조망이 좋고, 특히 용문폭포와 홍류동 계곡 등이 유명

4

가지산

(加智山)

1,240

울산광역시

울주군

 

경상북도

청도군

경상남도

밀양시

o 백두대간 남단의 중심으로 `영남알프스'에서 가장 높은 산으로 '79년 도립공원으로 지정되었음. 수량이 풍부한 폭포와 아름다운 소(沼)가 많고, 천연기념물 224호인 얼음골과 도의국사 사리탑인 `8각운당형부도(보물 제369호)'가 보존되어 있는 석남사(石南寺)가 소재하는 점 등을 고려하여 선정

※ 영남알프스 : 영남지방의 해발 1,000m가 넘는 고헌산, 가지산, 운문산, 천황산, 간월산, 신불산, 취서산 등을 총칭

o 능선 곳곳에 바위봉과 억새밭이 어우러져 있고 전망이 좋으며 자연휴양림이 있음. 밀양강의 지류인 산내천과 무적천의 발원지이며, 심심계곡·석남사골·쇠점골 등 계곡과 쌍폭·구연폭포·구룡소폭포·호박소 등이 유명

5

감악산

(紺岳山)

675

경기도

파주시

양주군

연천군

o 예로부터 경기 5악의 하나로서 폭포·계곡·암벽 등을 고루 갖추고 있으며, 임진강·개성 송악산 등의 조망이 좋은 점 등을 고려하여 선정

 

o 수량이 풍부한 운계폭포가 있고, 정상에는 글자가 모두 마멸되어 판독이 불가능한 비뜰대왕비(파주군 향토유적 제8호)가 있는데 `설인귀(薛人貴)'설과 `진흥왕 순수비'설이 나뉘어 속전되고 있음. 임꺽정이 관군의 추격을 피하기 위해 숨어 지냈다는 장군봉 아래 임꺽정 굴이 있음.

6

강천산

(剛泉山)

584

전라북도

순창군

전라남도

담양군

o 군립공원(1981년 지정)으로 지정되어 있으며, 강천계곡 등 경관이 수려하고 조망이 좋은 점 등을 고려하여 선정

 

o 신라 진성여왕때(887년) 도선국사가 개창한 강천사(剛泉寺)가 있으며, 산 이름도 강천사(剛泉寺)에서 유래. 삼국시대에 축조된 것으로 추정되는 금성산성(金城山城)이 유명

7

계룡산

(鷄龍山)

845

충청남도

공주시

논산시

o 예로부터 신라 5악의 하나인 서악(西岳)으로 지칭되었고, 조선시대에는 3악 중 중악(中岳)으로 불리운 산으로서 국립공원으로 지정(1968년)된 점 등을 고려하여 선정

 

o 산 능선이 마치 닭의 벼슬을 쓴 용의 모습과 닮았다고 하여 계룡산이라는 이름이 유래되었으며, `정감록(鄭鑑錄)'에 언급된 십승지지(十勝之地)중 하나임. 신라 성덕왕 2년(724년) 회의화상이 창건한 동학사(東鶴寺)와 백제 구이신왕(420년)때 고구려의 아도화상에 의하여 창건된 갑사(甲寺)가 있음.

8

계방산

(桂芳山)

1,577

강원도

평창군

홍천군

o 남한에서 한라산, 지리산, 설악산, 덕유산에 이어 다섯 번째로 높은 산으로서 산약초·야생화 등이 많이 서식하고, 희귀수목인 주목·철쭉나무 등이 군락을 이루고 있어 생태계 보호지역으로 지정된 점 등을 고려하여 선정

 

o 백두대간을 한 눈에 조망할 수 있으며 겨울철 설경이 백미. 우리나라에서 자동차로 오를 수 있는 고개 중 가장 높은 운두령이 있으며 내린천(內麟川)으로 흐르는 계방천의 발원지임

9

공작산

(孔雀山)

887

강원도

홍천군

o 울창한 산림과 수타계곡 등 경관이 수려한 점 등을 고려하여 선정

 

o 산의 형세가 마치 한 마리의 공작이 날개를 펼친 듯하다는데서 산 이름이 유래. 보물 제745호인 월인석보 제17권과 18권이 보존되어 있는 수타사(壽陀寺)와 수타사에서 노천리에 이르는 20리계곡인 수타계곡이 특히 유명

10

관악산

(冠岳山)

629

서울특별시

관악구

경기도

안양시

과천시

o 예로부터 경기 5악의 하나로서 경관이 수려하며, 도심지 가까이 위치한 도시자연공원(1968년 지정)으로 수도권 주민들의 휴식처인 점 등을 고려하여 선정

 

o 주봉은 연주대(戀主臺)로서 정상에 기상 레이더 시설이 있음. 신라시대 의상이 창건하고 조선 태조가 중수(1392년)한 연주암과 약사여래입상이 유명

11

구병산

(九屛山)

877

충청북도

보은군

 

경상북도

상주시

o 주능선의 북쪽 지역이 속리산 국립공원에 속해 있고 서원계곡(書院溪谷) 등 경관이 수려한 점 등을 고려하여 선정

o 웅장한 아홉 개의 바위봉이 병풍처럼 연이어 솟아 예로부터 구봉산이라고 불리어 왔으며, 정상에서의 조망이 좋음. 예로부터 보은지방에서는 속리산 천황봉은 지아비 산, 구병산은 지어미 산, 금적산은 아들 산이라 하여 이들을 `삼산(三山)'이라 일컬어왔음.

12

금산

(錦山)

701

경상남도

남해군

o 한려해상국립공원의 유일한 산악공원으로 경관이 수려하고, 바다와 섬, 일출을 조망할 수 있으며 경상남도 기념물로 지정(1974년)된 점 등을 고려하여 선정

 

o 본래 보광산이라고 불리다가 조선 태조와 관련된 전설에 따라 금산으로 이름이 바뀌었다고 함. 조선 태조가 기도했다는 이씨기단을 비롯하여, 사자암, 촉대봉, 향로봉 등 38경이 유명하며, 정상에는 우리나라 3대 기도처의 하나인 보리암이 소재

13

금수산

(錦繡山)

1,016

충청북도

제천시

단양군

o 월악산국립공원 북단에 위치하고 울창한 소나무 숲과 맑고 깨끗한 계류 등 경관이 뛰어난 점을 고려하여 선정

 

o 봄철의 철쭉과 가을철의 단풍이 특히 유명하고 능강계곡과 얼음골이 있음. 정상에서 소백산의 웅장한 산줄기와 충주호를 조망할 수 있음

14

금오산

(金烏山)

977

경상북도

구미시

김천시

칠곡군

o 기암절벽과 울창한 산림이 조화되어 경관이 수려하며, 문화유산이 많고 도립공원으로 지정(1970년)된 점 등을 고려하여 선정

o 높이 38m의 명금폭포가 있으며, 정상부근에는 자연암벽을 이용해 축성한 길이 2㎞의 금오산성이 있음. 해운사, 약사암 등의 고찰과 금오산마애보살입상(보물 제490호), 선봉사대각국사비(보물 제251호), 석조석가여래좌상(보물 제245호) 등이 유명

15

금정산

(金井山)

802

부산광역시

금정구

경상남도

양산시

o 산림이 울창하고 산세가 비교적 웅장하며 도심지 가까이 위치한 시민들의 휴식처인 점 등을 고려하여 선정

o 역사적으로 나라를 지키는 호국의 산으로서 호국사찰 범어사와 우리나라 5대 산성의 하나인 금정산성이 있음. 낙동강 지류와 수영강의 분수계(分水界)를 이루고, 금강공원 및 성지곡공원 등이 있음

16

깃대봉

(旗峰)

368

전라남도

신안군

(홍도)

o 덩굴사철, 식나무 및 동백림 등이 자생하는 등 생태적 가치가 커 섬 전체가 천연보호구역으로 지정(1965년)되어 있으며, 다도해해상국립공원으로 지정(1981년)된 점 등을 고려하여 선정

o 이름 그대로 깃대처럼 생긴 암봉이며, 홍도의 최고봉임. 깃대봉은 독립문, 석화굴 등 해안경관과 조화를 이뤄 홍도의 수려한 경관을 이루고 있음.

17

남산

(南山)

466

경상북도

경주시

o 길이 약 8km, 폭 약 4㎞의 산줄기안에 불상 80여체, 탑 60여기, 절터 110여 개소가 산재하여 경주국립공원으로 지정되어 있는 등 신라시대 역사 유물·유적의 보고인 점 등을 고려하여 선정

o `경주남산불적지'로 마애여래좌상(보물 제913호), 칠불암마애석불 등이 유명. 동쪽에는 남산산성 등이 있음

18

내연산

(內延山)

710

경상북도

포항시

영덕군

o `내연산 12폭포'라 하여 경북 8경의 하나로 청하골 계곡 등 경관이 수려하고 군립공원으로 지정되어 있는 점 등을 고려하여 선정

o 남쪽의 천령산 줄기와 마주하면서 그 사이에 험준한 협곡을 형성하고 있는 청하골이 유명. 원진국사사리탑(보물 제430호)과 원진국사비(보물 제252호)가 보존된 보경사(寶鏡寺) 등이 있음

19

내장산

(內藏山)

763

전라북도

정읍시

순창군

o 기암괴석과 울창한 산림, 맑은 계류가 어울어진 호남 5대 명산의 하나로 국립공원으로 지정(1971년)되어 있는 점 등을 고려하여 선정

o 내장사를 중심으로 서래봉에서 불출봉, 연지봉, 까치봉, 신선봉, 장군봉에 이르기까지 산줄기가 말발굽처럼 둘러쳐져 마치 철옹성 같은 특이지형을 이룸. 내장사(內藏寺) 부속암자인 원적암 일대에 있는 비자림(천연기념물 제153호)이 특히 유명

20

대둔산

(大芚山)

878

충청남도

금산군

전라북도

완주군

o 정상인 마천대를 비롯하여 사방으로 뻗은 바위능선의 기암괴석과 수목이 어우러져 경관이 뛰어나고, 도립공원으로 지정(1980년)된 점 등을 감안하여 선정

o 마천대에서 낙조대에 이르는 바위능선과 일몰광경이 뛰어나며, 임금바위·장군봉·동심바위·신선바위 등이 있음. 임금바위와 입석대를 잇는 금강구름다리와 태고사(太古寺)가 유명

21

대암산

(大岩山)

1,304

강원도

양구군

인제군

o 휴전선이 가까운 지역으로 각종 희귀생물과 원시림에 가까운 숲이 잘 보존되어 천연보호구역(천연기념물 제246호)으로 지정(1973년) 관리되는 등 우리나라 최대 희귀생물자원의 보고인 점 등을 감안하여 선정

o 대암산 정상부에 있는 약 9,000여평이 넘는 풀밭 같은 넓은 초원에 큰 용늪과 작은용늪의 고층습지가 있음. 그 주위가 마치 화채(punch) 그릇(bowl)같아 펀치볼로 불리우며 해안분지(亥安盆地)가 유명

22

대야산

(大野山)

931

충청북도

괴산군

경상북도

문경시

o 기암괴석과 폭포·소(沼)가 어우러져 수려한 경관을 이루고 있으며, 속리산 국립공원구역에 포함되어 있는 점 등을 감안하여 선정

o 용추폭포와 촛대바위가 있는 선유동계곡 및 `월영대'가 유명

23

덕숭산

(德崇山)

495

충청남도

예산군

o 지역 주민들이 소금강이라고 할 만큼 기암괴석과 어우러진 경관이 수려하고, 도립공원으로 지정(1973년)되어 있는 점 등을 감안하여 선정

o 백제 제29대 법왕 원년(599년) 지명법사가 창건한 수덕사(修德寺), 보물 제355호인 마애불과 덕산온천이 유명

24

덕유산

(德裕山)

1,614

전라북도

무주군

장수군

경상남도

거창군

함양군

o 향적봉에서 남덕유까지 17km의 장대한 산줄기를 이루고 있으며, 금강과 낙동강의 수원(水源)이고 국립공원으로 지정(1975년)된 점 등을 고려하여 선정

o 덕유산 북쪽으로 흘러 내리는 30여km의 무주구천동계곡(茂朱九千洞溪谷)과 자연휴양림, 신라 흥덕왕5년(830년) 무염국사가 창건한 백련사(白蓮社) 등이 유명

25

덕항산

(德項山)

1,071

강원도

삼척시

태백시

o 전형적인 경동지괴(傾動地塊) 지형으로 기암절벽과 초원이 어우러져 있으며 갈매굴, 제암풍혈, 양터목세굴, 덕발세굴, 큰재세굴 등 석회동굴이 많이 소재하고, 대이동굴 군립공원(1996년 지정) 구역내인 점 등을 고려하여 선정

 

o 약 4∼5억년 전에 이루어진 길이 6.9㎞, 천장높이 30m에 이르는 동양최대의 동굴인 환선굴(幻仙窟 : 천연기념물 제178호)이 유명

26

도락산

(道樂山)

964

충청북도

단양군

o 소백산과 월악산 중간에 위치하며, 단양8경인 하선암, 중선암과 사인암 등이 산재해 있는 바위산으로 경관이 수려한 점 등을 고려하여 선정

o 남한강 지류인 단양천 10여km 구간에 있는 하선암(下仙岩)과 쌍룡폭포·옥렴대·명경대 등 웅장한 바위가 있는 중선암(中仙岩), 경천벽, 와룡암, 일사대, 명경담 등이 있는 상선암(上仙岩)이 특히 유명

27

도봉산

(道峰山)

740

서울특별시

도봉구

경기도

양주군

의정부시

o 최고봉인 자운봉을 중심으로 만장봉, 선인봉, 원도봉계곡, 용어천계곡, 송추계곡 등 경관이 수려하고 국립공원으로 지정(1983년)되어 있으며, 수도권 시민의 휴식처인 점 등을 고려하여 선정

o 암벽등산에 최적지이며, 회룡사(回龍寺), 망월사(望月寺), 천축사(天竺寺), 보문사(普門寺) 등이 유명

28

두륜산

(頭輪山)

700

전라남도

해남군

o 한반도의 최남단 해남반도에 솟아 있는 산으로서 왕벚나무의 자생지가 있으며, 다도해를 조망하기에 적합하고 도립공원으로 지정(1972년)된 점 등을 감안하여 선정

o 봄의 춘백, 여름의 녹음, 가을의 단풍, 겨울의 동백 등으로 유명하며 유자(柚子), 차(茶)의 산지로 알려져 있음. 보물 제320호인 삼층석탑을 비롯하여 많은 문화재를 보존하고 있는 대흥사(大興寺)가 있음

29

두타산

(頭陀山)

1,353

강원도

동해시

삼척시

 

o 무릉계곡 등 경관이 아름다운 점 등을 고려하여 선정

o 삼화사(三和寺), 관음암(觀音庵), 두타산성(頭陀山城)이 있음. 바위에 50여개의 크고 작은 구멍이 패여 산이름이 붙여졌으며, 예로부터 기우제를 지내는 등 토속신앙의 기도처인 쉰움산(五十井山)이 유명

30

마니산

(摩尼山)

469

인천광역시

강화군

o 단군시조의 전설이 간직된 산으로 역사·문화적 가치 등을 고려하여 선정

o 사적 제136호인 참성단(塹星壇), 함허동천, 사적 제130호인 삼랑산성이 있음. 또한 많은 보물을 보존하고 있는 정수사(淨水寺) 및 전등사(傳燈寺)등이 있으며, 성화를 채화하는 장소이기도 함

31

 

마이산

(馬耳山)

685

전라북도

진안군

 

o 특이한 지형을 이루고 있으며, 섬진강과 금강(錦江) 발원지이고 도립공원(1979년)으로 지정된 점 등을 고려하여 선정

o 중생대 백악기에 습곡운동을 받아 융기된 역암이 침식작용에 의하여 형성된 산으로 산의 형상이 마치 말의 귀를 닮았다 하여 마이산으로 불려짐. 암마이산 남쪽 절벽 밑에 있는 80여개의 크고 작은 돌탑이 있는 탑사(塔寺)와 금당사(金塘寺)가 유명

32

명성산

(鳴聲山)

923

강원도 철원군

경기도 포천군

o 도평천(都坪川), 영평천(永平川), 한탄강의 수계를 이루며, 산세가 가파르고 곳곳에 바위가 어우러져 경관이 아름다운 점 등을 고려하여 선정.

 

o 산 북쪽으로 삼부연폭포와 남쪽으로 산정호수를 끼고 있음. 전설에 의하면 왕건(王建)에게 쫓기던 궁예(弓裔)가 피살되었던 곳으로 유명

33

명지산

(明智山)

1,267

경기도 가평군

포천군

o 경기도내에서 두 번째로 높은 산으로 경기도의 최고봉인 화악산(1,468m)과 가평천을 사이에 하고 있으며, 강씨봉, 귀목봉, 청계산, 우목봉 등 산세가 웅장하고 군립공원으로 지정된 점 등을 감안하여 선정

o 20여km를 흐르는 산 동쪽의 가평천 계곡과 익근리계곡의 명지폭포가 유명. 명지산 일대의 산과 계곡들은 경기도내에서는 첫째가는 심산유곡으로 알려져 있음

34

모악산

(母岳山)

794

전라북도

전주시

김제시

완주군

o 진달래와 철쭉이 유명한 호남 4경의 하나이며, 도립공원으로 지정(1971년)된 점 등을 고려하여 선정

o 신라 말에 견훤이 이 곳을 근거로 후백제를 일으켰다고 전해짐. 국보 제62호인 미륵전을 비롯하여 대적광전(보물 제467호)·혜덕왕사응탑비(보물 제24호)·5층석탑(보물 제27호)등 많은 문화재가 있는 금산사(金山寺)가 있음. 특히 미륵전에 있는 높이 11.82m나 되는 미륵불이 유명

35

무등산

(無等山)

1,187

광주광역시

동구

 전라남도

화순군

담양군

o 최고봉인 천왕봉 가까이에는 원기둥 모양의 절리(節理)가 발달하여 기암괴석의 경치가 뛰어나고, 도시민의 휴식처이며, 도립공원으로 지정(1972년)된 점 등을 고려하여 선정

o 보물 제131호인 철조비로자나불좌상 등이 있는 증심사(證心寺)와 원효사(元曉寺)가 유명

36

무학산

(舞鶴山)

761

경상남도

마산시

o 도시민의 휴식처로서 경관이 좋은 아기자기한 능선과 다도해를 바라다보는 조망이 좋은 점 등을 고려하여 선정

o 정상 북서쪽에 있는 시루봉 일대의 바위는 좋은 암벽등반 훈련장임. 예전부터 양조업이 성할 정도로 수질이 좋음 서원골 입구에 최치원의 제자들이 세운 관해정(觀海亭)이 있고 부근 원각사, 백운사 등이 유명

37

미륵산

(彌勒山)

461

경상남도

충무시

o 충무시와 연육교로 이어지는 미륵도(彌勒島)의 복판에 솟은 산으로 한려해상국립공원의 아름다운 경관을 한눈에 조망할 수 있는 등 경관이 아름다운 점 등을 고려하여 선정

o 지형도에는 용화산(龍華山)으로 표기되어 있으며, 석조여래상(경남유형문화재 43호)과 고려중기의 작품인 지장보살상과 시왕상 등이 보존되어 있는 용화사(龍華寺)가 있음. 도솔선사(兜率禪師)가 창건한 도솔암, 관음사(觀音寺), 봉수대터 등이 유명

38

민주지산

(岷周之山)

1,242

충청북도

영동군

 전라북도

무주군

경상북도

김천시

o 1000m 이상의 고산준봉을 거느리고 울창한 산림과 바위가 어우러져 있으며, 국내 최대 원시림 계곡인 물한계곡이 있는 점 등을 고려하여 선정

o 물이 차다는 한천마을 상류에서부터 약 20㎞를 흐르는 깊은 계곡으로, 원시림 등이 잘 보존된 손꼽히는 생태관광지인 물한계곡(勿閑溪谷)이 특히 유명. 정상 남쪽 50m쯤 아래에는 삼두마애불상이 있음. 충북, 전북, 경북의 경계인 삼도봉과 연접

39

방장산

(方丈山)

742

전라북도

정읍시

전라남도

장성군

o 옛부터 지리산, 무등산과 함께 호남의 삼신산으로 불려져 왔으며, 전북과 전남을 양분하는 산으로서 산세가 웅장하고 자연휴양림인 점 등을 고려하여 선정

 

o 옛이름은 방등산으로 백제가요중 `방등산가'의 방등산이 바로 방장산임. 정상에서 멀리 서해바다와 동쪽으로 무등산이 보임.

40

방태산

(芳台山)

1,436

강원도

인제군

o 가칠봉(1,241m), 응복산(1,156m), 구룡덕봉(1,388m), 주걱봉(1,444m) 등 고산준봉을 거느리고 있으며 한국에서 가장 큰 자연림이라고 할 정도로 나무들이 울창하고, 희귀식물과 희귀어종이 많은 생태적 특성 등을 고려하여 선정

 

o 정감록에는 난을 피해 숨을만한 피난처로 기록되어 있음. 자연휴양림이 있으며, 높이 10m의 이폭포와 3m의 저폭포가 있는 적가리골 및 방동약수, 개인약수 등이 유명

41

백덕산

(白德山)

1,350

강원도

평창군

영월군

o 사자산(1120m), 사갓봉(1020m), 솟때봉(884m) 등이 솟아 있어 산세가 웅장하고 골이 깊은 등 경관이 좋으며, 평창강(平昌江)과 주천강(酒泉江)의 수계인 점 등을 고려하여 선정

 

o 신라 때 자장율사가 창건하였다고 전해지는 법흥사(法興寺)와 경내에 있는 보물 제613호로 지정된 징효대사보인탑이 유명

42

백암산

(白岩山)

741

전라북도

순창군

 전라남도

장성군

o 봄이면 백양, 가을이면 내장이라 하듯이 경관이 수려하고 천연기념물인 비자나무와 굴거리나무가 집단분포하고 있으며, 내장산국립공원구역에 포함되어 있는 점 등을 고려하여 선정

 

o 학바위, 백양산 12경, 영천굴 등이 있음. 소요대사부도, 대웅전, 극락보전, 사천왕문을 포함하여 청류암의 관음전, 경관이 아름다운 쌍계루 등 수많은 문화유산들을 보존하고 있는 백양사(白羊寺)가 유명

43

백운산

(白雲山)

904

경기도

포천군

강원도

화천군

o 수려한 계곡미를 가지고 있으며 광덕산, 국망봉, 박달봉 등과 같은 높은 봉우리들과 무리를 이뤄 계곡·단애(斷崖) 등 독특한 경관을 가지고 있는 점 등을 고려하여 선정

 

o 백운동 계곡 및 신라 말 도선이 창건하였다고 전하는 흥룡사(興龍寺)가 유명

44

백운산

(白雲山)

1,218

전라남도

광양시

o 주봉을 중심으로 하여 또아리봉과 도솔봉, 매봉, 억불봉 등 산세가 웅장하며 경관이 수려하고 억새풀과 철쭉 군락, 온·한대 900종의 식물이 서식하는 등 경관·생태적 특징을 고려하여 선정

o 자연휴양림이 있으며, 백운사(白雲寺), 성불사(成佛寺) 등이 유명

45

백운산

(白雲山)

883

강원도

정선군

평창군

o 동강의 가운데에 위치하고 있어 경관이 아름답고, 조망이 좋으며 생태계보존지역으로 지정되어있는 점 등을 고려하여 선정

o 흰구름이 늘 끼어 있는데서 산 이름이 유래.

오대산에서 발원하는 오대천과 조양강(朝陽江)을 모아 남한강으로 흐르는 동강 및 천연기념물 제260호로 지정(1979년)된 백룡동굴(白龍洞窟)이 유명

46

변산

(邊山)

508

전라북도

부안군

o 울창한 산과 계곡, 모래해안과 암석해안 및 사찰 등이 어울려 뛰어난 경관을 이루고 있으며 국립공원으로 지정(1968년)된 점 등을 고려하여 선정

 

o 산이면서 바다와 직접 닿아 있는 특징이 있음. 직소폭포, 가마소, 봉래구곡, 채석강, 적벽강 및 내소사, 개암사 등 사찰과 호랑가시나무, 꽝꽝나무 등 희귀동·식물이 서식

47

북한산

(北漢山)

837

서울특별시

강북구

 

경기도

고양시

o 최고봉인 백운대를 위시하여 인수봉, 만경대, 노적봉 등 경관이 수려하고 도시민들의 휴식처이며 국립공원으로 지정(1983년)되어 있는 점 등을 고려하여 선정

o 북한산성, 우이동계곡, 정릉계곡, 세검정계곡 등이 유명. 도선국사가 창건한 도선사(道詵寺), 태고사(太古寺), 화계사(華溪寺), 문수사(文殊寺), 진관사(津寬寺) 등 수많은 고찰이 있음

48

비슬산

(琵瑟山)

1,084

대구광역시

달성군

 

경상북도

청도군

o 봄에는 진달래, 가을에는 억새 등 경관이 아름다우며, 조망이 좋고 군립공원으로 지정된 점 등을 고려하여 선정

 

o 북쪽의 팔공산과 함께 대구분지를 형성하며 낙동강을 끼고 있음. 고려말 공민왕 7년(1358년) 진보법사가 창건한 소재사(消災寺) 등이 유명

49

삼악산

(三岳山)

645

강원도

춘천시

o 고고시대에 형성된 등선계곡과 맥국시대의 산성터가 있는 유서깊은 산으로 기암괴석의 경관이 아름답고, 의암호와 북한강을 굽어보는 조망이 좋은 점 등을 고려하여 선정

 

o 남쪽 골짜기 초입의 협곡과 등선폭포(登仙瀑布)가 특히 유명하고, 흥국사(興國寺), 금선사(金仙寺), 상원사(上院寺) 등 7개 사찰이 있음.

50

서대산

(西大山)

904

충청남도

금산군

o 충청남도에서는 제일 높은 산으로 곳곳에 기암괴석과 바위 절벽이 있어 중부의 금강이라고 일컬을 정도로 경관이 아름다우며, 산정에서의 조망이 좋은 점 등을 고려하여 선정

o 용굴, 사자굴, 견우장년대, 직녀탄금대, 북두칠성바위 등이 유명

51

선운산

(禪雲山)

336

전라북도

고창군

o 산세는 별로 크지 않으나 숲이 울창하고 곳곳이 기암괴석으로 이루어져 있어 경관이 빼어나며 천연기념물 제184호인 동백나무 숲이 있는 등 생태적 가치가 크고 도립공원으로 지정(1979년)된 점 등을 고려하여 선정

o 백제 위덕왕 24년(577년) 검단선사가 창건한 선운사(禪雲寺)와 수령 5백년의 동백나무 3천여 그루가 군락을 이루고 있는 선운사 동백 숲이 유명

52

설악산

(雪岳山)

1,708

강원도

속초시

인제군

양양군

o 남한에서 세 번째로 높은 봉우리인 한계령, 마등령, 미시령 등 수많은 고개와 산줄기·계곡들이 어우러져 한국을 대표하는 산악미의 극치를 이루고 있으며, 국립공원(1970년 지정) 및 유네스코의 생물권 보존지역으로 지정(1982년)되어 관리되고 있는 점 등을 고려하여 선정

o 백담사(百潭寺), 봉정암(鳳頂菴), 신흥사(新興寺), 계조암(繼祖菴), 오세암(五歲庵), 흔들바위, 토왕성폭포, 대승폭포 등이 특히 유명

53

성인봉

(聖人峰)

984

경상북도

울릉군

(울릉도)

o 휴화산인 울릉도의 최고봉으로서 울릉도 모든 하천의 수원을 이루고, 식생이 특이한 원시림이 잘 보전되어 있는 점 등을 감안하여 선정

 

o 울릉도에서는 유일하게 평지를 이룬 나리분지(羅里盆地)와 천연기념물 제189호로 지정(1967년)된 원시림에 유명. 나리동의 울릉국화·섬백리향의 군락은 천연기념물 제52호(1962년)로 지정되어 있음

54

소백산

(小白山)

1,439

충청북도

단양군

경상북도

영주시

o 국망봉에서 비로봉, 연화봉으로 이어지는 해발 1,300여m의 일대 산군으로 1,000m이상은 고원지대와 같은 초원을 이루고 있으며, 국망천과 낙동강 상류로 들어가는 죽계천이 시작되고 국립공원으로 지정(1987년)된 점 등을 고려하여 선정

o 주봉인 비로봉 일대에는 주목군락지(천연기념물 제244호)와 한국산 에델바이스인 솜다리가 군락을 이루고 있음. 희방사(喜方寺), 구인사, 소수서원(紹修書院 : 사적 제55호), 부석사(浮石寺), 온달성, 국립천문대 소백산 천체관측소 등이 유명

55

소요산

(消遙山)

559

경기도

동두천시

포천군

o 규모는 작으나 상백운대, 하백운대, 중백운대 등 경관이 아름답고, 등산인의 선호도가 높아 '81년 국민관광지로 지정된 점을 고려하여 선정

 

o 원효폭포, 청량폭포, 선녀탕절벽과 가을철 단풍이 유명하며, 신라 무열왕 1년(654년)에 원효대사가 창건하였다고 전해지는 자재암이 있음.

56

속리산

(俗離山)

1,057

충청북도

보은군

괴산군

경상북도

상주시

o 예로부터 산세가 수려하여 제2금강 또는 소금강이라고도 불리울 정도로 경관이 아름답고 망개나무, 미선나무 등 1,000여 종이 넘는 동식물이 서식하고 있으며, 국립공원으로 지정(1970년)된 점 등을 고려하여 선정

 

o 법주사(法住寺), 문장대, 천연기념물 제103호인 정이품송(正二品松) 및 천연기념물 제207호인 망개나무가 유명

57

신불산

(神佛山)

1,209

울산광역시

울주군

o 영남알프스 산군에 속하는 산으로 능선에는 광활한 억새와 바위절벽, 완만한 지대가 조화를 이루고 있으며 작천계곡, 파래소폭포 등이 있고 군립공원인 점 등을 고려하여 선정

o 신불산 폭포자연휴양림 등이 유명

58

연화산

(蓮華山)

528

경상남도

고성군

o 경관이 아름답고 오래된 사찰과 문화재가 많으며 도립공원으로 지정(1983년)된 점 등을 고려하여 선정

o 산 중턱에 큰 대밭이 있음. 유서 깊은 옥천사(玉泉寺)와 연대암·백련암·청연암 등이 유명

59

오대산

(五臺山)

1,563

강원도

강릉시

평창군

홍천군

o 국내 제일의 산림지대를 이루고 있으며, 경관이 수려하여 국립공원으로 지정(1975년)된 점 등을 고려하여 선정

 

o 연꽃모양으로 둘러선 다섯 개의 봉우리가 모두 모나지 않고 평평한 대지를 이루고 있는데서 산이름이 유래. 월정사(月精寺), 적멸보궁(寂滅寶宮), 상원사(上院寺)가 있음. 골짜기마다 사찰, 암자 등 많은 불교유적이 산재해 있는 등 우리나라 최고의 불교 성지로 유명

60

오봉산

(五峰山)

779

강원도

춘천시

화천군

o 산세는 크지 않으나 바위와 수목이 어우러진 경관이 아름다운 점 등을 고려하여 선정

o 다섯 개의 바위 봉이 연이어 솟아있는 데서 산이름이 유래. 신라때 아도화상이 창건하였다고 전해지는 청평사(淸平寺)와 구성폭포가 유명. 청평사 경내에 있는 보물 제164호인 회전문이 유명

61

용문산

(龍門山)

1,157

경기도

양평군

o 옛부터 경기의 금강산이라 불리워질 만큼 기암괴석과 고산준령을 고루 갖춘 경관이 뛰어난 산이며, 특히 신라 선덕여왕때 창건한 용문사와 높이 62m, 둘레 14m에 달하는 은행나무(천연기념물 제30호)가 있는 등 역사·문화적 가치가 높은 점을 고려하여 선정

 

o 경기도에서 네 번째로 높은 산으로 미지산이라는 이름으로 불리었는데 조선을 개국한 이태조가 등극하면서 `용문산'이라 바꿔 부르게 되었다는 전설이 있음.

62

용화산

(龍華山)

878

강원도

춘천시

화천군

o 파로호, 춘천호, 소양호 등과 연접해 있으며 산림과 기암괴석이 어우러져 경관이 아름다우며 조망이 좋은 점 등을 고려하여 선정.

 

o 성불사터가 있으며 광바위, 주전자바위, 바둑바위 등 갖가지 전설을 간직한 실물을 닮은 바위가 유명

63

운문산

(雲門山)

1,188

경상북도

청도군

경상남도

밀양시

o 구연동(臼淵洞), 얼음골이라 부르는 동학(洞壑), 해바위(景岩) 등 천태만상의 기암괴석이 계곡과 어우러져 경관이 수려하고 군립공원으로 지정(1983년)된 점 등을 고려하여 선정

o 보물 제835호 대웅전, 제678호 삼층석탑, 제193호 석등, 제316호 원응국사비, 제317호 석조여래좌상 등 각종 문화유적이 있는 운문사가 있음. 석남사 경내에 있는 4백년의 수령을 자랑하는 처진 소나무(반송 : 천연기념물 제180호)가 유명

64

운악산

(雲岳山)

936

경기도

가평군

경기도

포천군

o 주봉인 망경대를 둘러싼 경관이 경기 소금강이라고 불리울 만큼 뛰어난 점 등을 고려하여 선정

o 천년고찰인 현등사 및 백년폭포, 오랑캐소, 눈썹바위, 코끼리바위, 망경대, 무우폭포, 큰골내치기암벽, 노채애기소 등 운악8경이 유명

65

운장산

(雲長山)

1,126

전라북도

완주군

진안군

o 운일암(雲日岩)·반일암(半日岩)으로 유명한 대불천(大佛川) 계곡이 있으며, 물이 맑고 암벽과 숲으로 둘러싸여 경관이 아름답고 자연휴양림이 있는 점 등을 고려하여 선정

o 북두칠성의 전설이 담겨있는 `칠성대'와 조선시대 송익필의 전설이 얽혀 있는 `오성대'가 유명

66

월악산

(月岳山)

1,094

충청북도

제천시

충주시

단양군

경상북도

문경시

o 산세가 험준하고 기암이 어우러져 예로부터 신령스런 산으로 여겨졌으며 송계 8경과 용하 9곡이 있고 국립공원으로 지정(1984년)된 점 등을 고려하여 선정

o 신라말 마의태자와 덕주공주가 마주보고 망국의 한을 달래고 있다는 미륵사지의 석불입상, 덕주사의 마애불 및 덕주산성 등이 유명

67

월출산

(月出山)

809

전라남도

영암군

강진군

o 경관이 아름다우며 난대림과 온대림이 혼생하여 생태적 가치가 크고 국립공원으로 지정(1988년)된 점 등을 고려하여 선정

 

o 천황봉을 중심으로 무위사 극락보전(국보 제13호), 도갑사 해탈문(국보 제50호)가 있음. 구정봉 밑 용암사터 근처에는 우리나라에서 가장 높은 곳에 위치한 국보 제144호인 마애여래좌상이 유명

68

유명산

(有明山)

862

경기도

가평군

양평군

o 능선이 완만하고 부드러우며, 수량이 풍부한 계곡과 기암괴석 및 울창한 숲이 어우러져 경관이 아름다운 점 등을 고려하여 선정

o 신라 법흥왕 27년(540년)에 인도에서 불법을 우리나라에 들여온 마라가미 스님에게 법흥왕이 하사한 사찰인 현등사가 유명. 자연휴양림이 있음

69

응봉산

(鷹峰山)

999

강원도

삼척시

경상북도

울진군

o 아름다운 여러 계곡들을 끼고 있어 계곡탐험코스로 적합하며, 산림이 울창하고 천연노천온천인 덕구온천과 용소골의 폭포와 소가 많은 등 경관이 아름다운 점을 고려하여 선정

 

o 울진조씨가 매사냥을 하다가 잃어버린 매를 이 산에서 찾고는 산 이름을 응봉이라 한 뒤 근처에 부모의 묘자리를 쓰자 집안이 번성하였다는 전설이 전해지고 있음. 정상에서 멀리 백암산·통고산·함백산·태백산을 조망할 수 있는 곳으로 유명

70

장안산

(長安山)

1,237

전라북도

장수군

o 덕산계곡을 비롯한 크고 작은 계곡과 윗용소, 아랫용소 등 연못 및 기암괴석이 산림과 어우러져 군립공원(1986년)으로 지정된 점 등을 고려하여 선정

o 산등에서 동쪽 능선으로 펼쳐진 광활한 갈대밭과 덕산용소계곡이 유명

71

재약산

(載藥山)

1189

울산광역시

울주군

경상남도

밀양시

o 산세가 부드러우면서도 정상 일대에는 거대한 암벽을 갖추고 있어 경관이 아름다우며 우리나라에서 가장 넓은 억새밭인 사자평이 있는 점 등을 고려하여 선정

 

o 삼복 더위에 얼음이 어는 천연기념물 제224호 얼음골이 있음. 신라 진덕여왕때 창건하고 서산대사가 의병을 모집한 곳인 표충사가 유명

72

적상산

(赤裳山)

1,034

전라북도

무주군

o 가을에 마치 온 산이 빨간 치마를 입은 여인네의 모습과 같다 하여 이름이 붙여질 정도로 경관이 뛰어나며 덕유산 국립공원구역인 점 등을 고려하여 선정

 

o 고려 공민왕 23년(1374) 최영 장군이 탐라를 토벌한 후 귀경길에 이 곳을 지나다가 산의 형세가 요새로서 적지임을 알고 왕에게 건의하여 축성된 적상산성(사적 제146호)과 안국사 등이 유명

73

점봉산

(點鳳山)

1,424

강원도 인제군

양양군

o 원시림이 울창하고 모데미풀 등이 자생하는 등 생태적 가치가 커 유네스코에서 생물권보존구역으로 지정하고, 산림유전자원보호림으로 관리되고 있는 점 등을 고려하여 선정. 특히 제1회 아름다운 숲 전국대회에서 보전되어야 할 숲으로 선정.

o 12담 구곡으로 불리는 오색약수터 및 주전골 성국사터에 있는 보물 제497호인 양양 오색리 삼층석탑이 있음

74

조계산

(曹溪山)

884

전라남도 순천시

o 예로부터 소강남(小江南)이라 부른 명산으로 깊은 계곡과 울창한 숲·폭포·약수 등 자연경관이 아름답고, 불교 사적지가 많으며, 도립공원으로 지정(1979년)된 점 등을 고려하여 선정

 

o 목조삼존불감(국보 제42호), 고려고종제서(高麗高宗制書 : 국보 제43호), 송광사국사전(국보 제56호) 등 많은 국보를 보유한 송광사와 곱향나무(천연기념물 제88호)가 유명

75

주왕산

(周王山)

721

경상북도 청송군

o 석병산으로 불리울 만큼 기암괴봉과 석벽이 병풍처럼 둘러서 경관이 아름다우며 국립공원으로 지정(1976년)된 점 등을 고려하여 선정

 

o 대전사(大典寺), 주왕암이 있음. 주왕굴을 중심으로 남아있는 자하성의 잔해는 주왕과 고려군의 싸움의 전설이 깃들여 있는 곳으로 유명

76

주흘산

(主屹山)

1,106

경상북도 문경시

o 소백산맥의 중심을 이루고 문경새재 등 역사적 전설이 있으며, 여궁폭포와 파랑폭포 등 경관이 아름답고, 월악산 국립공원구역인 점 등을 고려하여 선정

o 야생화, 오색단풍, 산죽밭이 유명하며, 조선조 문경현의 진산으로 문경 1, 2, 3관문이 있음

77

지리산

(智異山)

1,915

전라북도 남원시

전라남도 구례군

경상남도 산청군 하동군 함양군

o 신라 5악중 남악으로 남한 내륙의 최고봉인 천왕봉(1,915m)을 주봉으로 노고단(1,507m), 반야봉(1,751m) 등 동서로 100여리의 거대한 산악군을 이뤄 `지리산 12동천'을 형성하는 등 경관이 뛰어나고 우리나라 최대의 자연생태계 보고이며 국립공원 제1호로 지정(1967년)된 점 등을 고려하여 선정

o 어리석은 사람이 머물면 지혜로운 사람으로 달라진다고 한데서 산이름이 유래.화엄사, 천은사, 연곡사, 쌍계사 등이 유명

78

지이망산

(智異望山)

398

경상남도 통영시

o 한려수도의 빼어난 경관과 조화를 이루고 특히 불모산, 가마봉, 향봉, 옥녀봉 등 산 정상부의 바위산이 기암괴석을 형성하고 조망이 좋은 점 등을 고려하여 선정

o `지리산이 바라 보이는 산'이란 뜻에서 산이름이 유래하였으며, 현지에서는 지리산이라고도 불리워지고 있음. 다도해의 섬을 조망할 수 있으며 기묘한 바위 능선이 특히 유명

79

천관산

(天冠山)

723

전라남도 장흥군

o 호남의 5대 명산으로 꼽을 만큼 경관이 아름다우며 조망이 좋고 도립공원으로 지정(1998년)된 점 등을 고려하여 선정

 

o 신라시대에 세워진 천관사와 동백숲이유명하고, 자연휴양림이 있음.

80

천마산

(天摩山)

812

경기도 남양주시

o 산꼭대기를 중심으로 능선이 사방에 뻗어있어 어느 지점에서나 정상을 볼수 있는 특이한 산세와 식물상이 풍부하여 식물관찰 산행지로 이름나 있는 점 등을 고려하여 선정

o 산 남쪽에 천마산스키장이 있음

81

천성산

(千聖山)

812

경상남도 양산시

o 금강산의 축소판이라고 불릴 정도로 경관이 뛰어나고, 특히 산정상부에 드넓은 초원과 산지습지가 발달하여 끈끈이주걱 등 희귀식물과 수서곤충이 서식하는 등 생태적 가치가 높은 점을 고려하여 선정

o 봄에는 진달래와 철쭉, 가을에는 능선의 억새가 장관을 이루며, 원효대사가 창건했다는 내원사가 있음.

82

천태산

(天台山)

715

충청북도 영동군

 

충청남도 금산군

o 충북의 설악산으로 불려질 만큼 경관이 아름다운 점 등을 고려하여 선정

 

o 고려시대 대각국사 의천이 창건한 영국사와 수령이 약 500년 된 은행나무(천연기념물 제223호), 3층석탑(보물 제533호), 원각국사비(보물 제534호) 등이 유명

83

청량산

(淸凉山)

870

경상북도

안동시

봉화군

o 산세는 크지 않으나 연이어 솟는 바위 봉우리와 기암절벽이 어우러져 예로부터 소금강으로 꼽힐 만큼 산세가 수려하고, 도립공원으로 지정(1982년)된 점 등을 고려하여 선정

 

o 원효대사가 창건한 유리보전, 신라시대의외청량사, 최치원의 유적지인 고운대와 독서당, 공민왕이 홍건적의 난을 피해 은신한 오마대(五馬臺)와 청량산성, 김생이 글씨를 공부하던 김생굴, 퇴계 이황이 수도하며 성리학을 집대성한 오산당(청량정사) 등 역사적 유적지로 유명

84

추월산

(秋月山)

731

전라북도

순창군

 전라남도

담양군

o 울창한 산림과 담양호가 어우려져 경관이 아름다우며 추월난이 자생하는 점 등을 고려하여 선정

 

o 산 정상에서 65m 정도 아래 지점에 있는 보리암(菩提庵)과 전라북도 순창을 경계로 한 산록에 있는 용추사가 유명

85

축령산

(祝靈山)

879

경기도

남양주시

가평군

o 소나무와 잣나무 장령림이 울창한 숲을 이루고 단애가 형성되어 있으며, 산 정상에서 북으로는 운악산, 명지산, 화악산이 보이고, 동남쪽으로 청평호가 보이는 등 조망이 뛰어난 점을 고려하여 선정

  o 가평 7경의 하나인 축령백림과 남이장군의 전설이 깃든 남이바위, 수리바위 축령백림 등이 유명. 자연휴양림이 있음.

86

치악산

(雉岳山)

1,288

강원도

원주시

횡성군

o 주봉인 비로봉을 중심으로 남대봉 (1,181m)과 매화산(1,085m) 등 1천여 미터의 고봉들이 연이어 있어 경관이 아름다우며 곳곳에 산성과 사찰, 사적지들이 널리 산재해 있고 국립공원으로 지정(1984년)된 점 등을 고려하여 선정

 

o 구룡계곡, 부곡계곡, 금대계곡 등과 신선대, 구룡소, 세렴폭포, 상원사 등이 있음. 사계절별로 봄 진달래와 철쭉, 여름 구룡사의 울창한 숲과 깨끗한 물, 가을의 단풍, 겨울 설경이 유명

87

칠갑산

(七甲山)

561

충청남도

청양군

o 백운동 계곡 등 경관이 아름다우며 도립공원으로 지정(1973년)된 점 등을 고려하여 선정

 

o 계곡은 깊고 급하며 지천과 계곡을 싸고 돌아 7곳에 명당이 생겼다는 데서 산이름이 유래. 신라 문성왕 때 보조(普照) 승려가 창건한 장곡사(長谷寺)에 있는 철조약사여래좌상(보물 제174호) 등이 유명

88

태백산

(太白山)

1,567

강원도

태백시

영월군

 경상북도

봉화군

o 예로부터 삼한의 명산이라 불리웠으며 산 정상에는 고산 식물이 자생하고 겨울 흰 눈으로 덮인 주목군락의 설경 등 경관이 뛰어나며 도립공원으로 지정(1989년)된 점 등을 고려하여 선정

 

o 삼국사기에 따르면 산 정상에 있는 천제단에서 왕이 친히 천제를 올렸다는 기록이 있음. 망경사, 백단사 등이 유명

89

태화산

(太華山)

1,027

강원도

영월군

 충청북도 단양군

o 경관이 아름답고 고구려 시대에 쌓았던 토성인 태화산성 등 역사적 유적이 있고, 고씨동굴(高氏洞窟 : 천연기념물 제219호) 등이 소재하고 있는 점 등을 고려하여 선정

90

팔공산

(八公山)

1,193

대구광역시

동구

경상북도 군위군

영천군

o 비로봉(毘盧峰)을 중심으로 하여 동·서로 16km에 걸친 능선 경관이 아름다우며 대도시 근교에서는 가장 높은 산으로 도시민에게 휴식처를 제공하고 도립공원으로 지정(1980년)된 점 등을 고려하여 선정

o 동화사(桐華寺), 은해사(銀海寺), 부인사(符仁寺), 송림사(松林寺), 관암사(冠岩寺) 등 불교문화의 성지로 유명

91

팔봉산

(八峰山)

302

강원도

홍천군

o 산은 나지막하고 규모도 작으나 여덟개의 바위봉이 팔짱 낀 8형제처럼 이여져 있고 홍천강과 연접하여 경관이 아름다운 점 등을 고려하여 선정

 

o 국민관광지로 지정되어 있음

92

팔영산

(八影山)

609

전라남도

고흥군

o 여덟개의 암봉으로 이루어진 산세가 험준하고 기암괴석이 많으며 조망이 좋고 도립공원으로 지정(1998년)된 점 등을 고려하여 선정

 

o 예전에 화엄사, 송광사, 대흥사와 함께 호남 4대 사찰로 꼽히던 능가사가 있음. 신선대, 강산폭포 및 자연휴양림이 있음. 정상에서 대마도까지 보일 정도로 조망이 좋음

93

한라산

(漢拏山)

1,950

제주도

o 남한에서 가장 높은 우리나라 3대 영산의 하나로 산마루에는 분화구인 백록담이 있고 1,800여종의 식물과 울창한 자연림 등 고산식물의 보고이며 국립공원으로 지정(1970년)된 점 등을 고려하여 선정

 

o 남한의 최고봉으로서 백록담, 탐라계곡, 안덕계곡, 왕관릉, 성판암, 천지연 등이 유명

94

화악산

(華岳山)

1,468

경기도 가평군

 

o 경기 제1의 고봉으로 애기봉을 거쳐 수덕산까지 약 10㎞의 능선 경관이 뛰어나며 시계가 거의1백㎞에 달하는 등 조망이 좋은 점 등을 고려하여 선정

 

o 집다리골 자연휴양림이 있으며, 정상에서 중서부지역 대부분의 산을 조망할 수 있음

95

화왕산

(火旺山)

757

경상남도

창녕군

 

o 억새밭과 진달래 군락 등 경관이 아름다우며 화왕산성, 목마산성 등이 있고 군립공원인 점 등을 고려하여 선정

 

o 해마다 정월대보름이 되면 정상 일대의 억새평전에서 달맞이 행사가 열림. 정상에 화산활동으로 생긴 분화구 못(용지)이 3개 있음. 송현동 고분군 및 석불좌상, 대웅전 등 4점의 보물이 있는 관룡사 등이 유명

96

황매산

(黃梅山)

1,108

경상남도

합천군

산청군

o 화강암 기암괴석과 소나무, 철쭉, 활엽수림이 어우러져 경관이 아름다운 점 등을 고려하여 선정

 

o 합천호 푸른물에 하봉, 중봉, 상봉의 산 그림자가 잠기면 세송이 매화꽃이 물에 잠긴 것 같다고 하여 수중매라는 별칭으로도 불림. 산 아래의 황매평전에는 목장지대와 고산 철쭉 자생지가 있으며, 통일신라시대의 고찰인 염암사지(사적131호)가 유명

97

황석산

(黃石山)

1,190

경상남도

거창군

함양군

o 거망에서 황석으로 이어지는 능선에 있는 광활한 억새밭 등 경관이 아름답고 황석산성 등 역사적 유적이 있는 점 등을 고려하여 선정

o 정유재란 당시 왜군에게 마지막까지 항거하던 사람들이 성이 무너지자 죽음을 당하고 부녀자들은 천길 절벽에서 몸을 날려 지금껏 황석산 북쪽 바위 벼랑이 핏빛이라는 전설이 있는 황석산성이 있음

98

황악산

(黃嶽山)

1,111

충청북도

영동군

경상북도

김천시

o 전체적인 산세는 특징 없이 완만한 편이나 산림이 울창하고 산 동쪽으로 흘러내리는 계곡은 곳곳에 폭포와 소를 이뤄 계곡미가 아름다운 점 등을 고려하여 선정

o 특히 직지사 서쪽 200m 지점에 있는 천룡대부터 펼쳐지는 능여계곡은 대표적인 계곡으로 봄철에는 진달래, 벚꽃, 산목련이 유명.

99

황장산

(黃腸山)

1,077

경상북도

문경시

 

o 울창한 산림이 암벽과 어우러져 경관이 아름다우며 황장목이 유명하고 조선시대 봉산 표지석이 있는 등 경관 및 산림문화적 측면을 고려하여 선정

 

o 동국여지승람, 대동지지, 예천군 읍지 등에는 작성산으로 표기

100

희양산

(曦陽山)

998

충청북도

괴산군

경상북도

문경시

o 산 전체가 하나의 바위처럼 보이고 바위 낭떠러지들이 하얗게 드러나 있어 주변의 산에서뿐만 아니라 먼 산에서도 쉽게 알아볼 수 있으며 기암괴석과 풍부한 수량이 어우러진 백운곡 등 경관이 수려하고 마애본좌상 등 역사유적이 있는 점 등을 고려하여 선정

 산림청자료(2002년 11월 19일)

'산행길'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홍천 팔봉산  (0) 2012.06.08
홍천 공작산  (0) 2012.06.08
가평 명지산-연인산 종주  (0) 2012.05.28
흥사단YKA산악회 1,000회차 산행을 다녀온다.  (0) 2012.05.14
포천 - 관음산  (0) 2012.05.06

 1. 산행지 : 명지산(1267m) -  연인산(1068m) 경기 가평

2. 참석자 : 최병규, 박성근(비단우 100좌도전)

3. 산행일시 : 2012년 5월 27일(일)

4. 개요 : 오늘은 경기도에서 화악산 다음으로 높은 명지산과 연인산을 종주 산행을 한다. 상봉전철역에서 7시49분발 춘천행 전철을 탄다. 가평역에 내리니 8시40분 가평터미널 가는 8시55분 버스를 타고  가평역 도착 9시30분 용수동발 버스를 타고 명지산입구(익근리)에 하차 10시경 준비를 하고 10시10분경에 출발 승천사, 명지폭포를 지나 삼거리에서 다리를 건너 오른다.. 오르다 만난 소나기는 명지산 정상에 오를 때 까지 내려 소나기를 흠뻑 맞는다. 정상에 오르니 13시5분 정상에서 인증삿을 찍고 13시17분에 명지2봉으로 향한다. 소나기는 멎어지고 명지2봉에 도착했을 때는 완연히 비는 그첬다. 13시38분에 명지2봉에 도착해서 점심을 먹고 14시17분에 출발한다. 명지3봉으로 지나 아재비고개로 하산한다. 아재비고개에 14시38분에 도착하여 바로 연인산을 오른다. 3.3km다. 능선까지 가파르게 치고 오르는 것이 없어 원만히 오를 수 있는 연인산이다. 오르다 보니 연인산 정상16시17분경에 도착한다. 소망능선으로 장수폭포로해서 백둔리로 내려간다. 18시에 백둔리종점에서 가평터미널로 가는 버스를 타야한다. 18시 버스를 놓치면 20시 까지 기다려야 한다. 용추리 방향으로 하산하다 소망능선으로 하산길을 잡는다. 부지런히 내려오니 17시30분경이다. 버스타는데 까지는 10분쯤 더 내려가야하는데 주차장에 관광버스가 한대 있다. 곧 출발하려는데 박성근 친구가 차를 세워 버스 타는데 까지 테워 달라하니 태워준다. 수원에서 연인산 산행을 온 산사랑산악회다. 친절하게도 기사님이 가평터미널까지 고맙게도 테워준다. 가평터미널에 도착하니 18시15분경이다. 18시30분에 가평역으로 가는 버스를 타고 가평역으로 바로 상봉행 전철을 탄다.  

한다. 오늘 산행시간은 쉬고 점심 먹는 시간 포함해서 총 7시간20분 정도 걸었다.

*** (서울) 최병규 산행지 : 충북 양성산(전국대회10점), 인천 계양산(1점), 서울 북한산(필수5점)), 동두천 소요산(1점), 가평 청우산(1점), 강화도 마니산(필수5점), 지리산 천왕봉(필수5점), 반야봉(타지역2점), 노고단(타지역2점), 만복대(타지역2점), 바래봉(타지역2점),강화도 고려산(1점), 가평 중미산(1점), 가평 유명산(1점), 서울 불암산(1점), 서울 수락산(1점), 양주 불곡산(1점), 서울 관악산(1점), 춘천 검봉산(1점), 춘천 봉화산(1점), 정선 민둥산(1점), 부산 금정산(전국대회 10점), 양평 청계산(1점), 강원 태백산(5점), 가평 운악산(1점), 남양주 운길산(1점), 남양주 예봉산(1점), 천안 성거산(2점), 천안 흑성산(2점), 춘천 금병산(1점), 포천-남양주 주금산(1점), 충북제천 금수산(5점), 가평,남양주 축령산(1점), 가평 설악 곡달산(1점), 가평 설악면 화야산(1점), 충남 예산(수덕산)덕숭산(2점), 충남 예산.홍성 용봉산. 양평 양자산(1점), 포천 관음산(1점), 대전 만인산(10점), 가평 명지산(1점), 가평 연인산(1점) - 42좌 산행

 *** 현재 점수 : 97점 

 

 

 

 

 

 

 

 

 

 

 

 

 

 

 

 

 

 

 

 

 

 

 

 

 

 

 

 

 

 

 

 

 

 

 

 

 

 

 

 

 

 

 

 

 

 

 

 

 

 

'산행길'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홍천 공작산  (0) 2012.06.08
100대 명산  (0) 2012.05.29
흥사단YKA산악회 1,000회차 산행을 다녀온다.  (0) 2012.05.14
포천 - 관음산  (0) 2012.05.06
양평 양자산  (0) 2012.04.29

1. 산행지 : 만인산(537m) 대전 동구

2. 참석자 : 흥사단 YKA산악회 1,000회 산행 참석, 최병규, 옥영수 외 서울YKA 45명

3. 산행일시 : 2012년 5월 13일(일)

4. 개요 : 1927년 4월10일 노량진 사육신묘에서 시작한 흥사단 YKA산악회가 오늘 1,000회 산행을 한다. 전국 동지들 작년 가을에 보고 오늘 보니 반갑기 그지없다. 동지들의 손을 잡는 느낌.. 따뜻한 온정이 넘처난다. 초반 날씨는 빗방울이 떨어지는듯 하더니 하산하니 쾌청하다. 만인산 정상에서 인증삿을 당연히 찍고 만인루 정자 아래에서 엄용석 동지가 가져온 시원한 수박 한조각의 맛은 꿀이었다.(수박을 먹은 동지보다 못먹은 동지가 더 많음) 작년 양성산에서 시작한 100좌 도전.. 1년이 되는 오늘 만인산 산행으로 개인 40좌를 하게됐다. 80좌가 넘은 조성일단우나, 70좌가 넘은 옥영수단우, 유돌상단우, 50좌가 넘은 이채옥단우, 박정선단우, 50좌를 바라보는 안병서단우, 김태권단우, 변해송단우, 이광석단우, 등 100좌를 충분히 달성하고 남을 맹렬동지들이다. 또한 뒤 따르는 동지들에게 우리 모두 격려를 보냅시다. 흥사단 YKA산악회 100좌 도전 화이팅!!! 


*** (서울) 최병규 산행지 : 충북 양성산(전국대회10점), 인천 계양산(1점), 서울 북한산(필수5점)), 동두천 소요산(1점), 가평 청우산(1점), 강화도 마니산(필수5점), 지리산 천왕봉(필수5점), 반야봉(타지역2점), 노고단(타지역2점), 만복대(타지역2점), 바래봉(타지역2점),강화도 고려산(1점), 가평 중미산(1점), 가평 유명산(1점), 서울 불암산(1점), 서울 수락산(1점), 양주 불곡산(1점), 서울 관악산(1점), 춘천 검봉산(1점), 춘천 봉화산(1점), 정선 민둥산(1점), 부산 금정산(전국대회 10점), 양평 청계산(1점), 강원 태백산(5점), 가평 운악산(1점), 남양주 운길산(1점), 남양주 예봉산(1점), 천안 성거산(2점), 천안 흑성산(2점), 춘천 금병산(1점), 포천-남양주 주금산(1점), 충북제천 금수산(5점), 가평,남양주 축령산(1점), 가평 설악 곡달산(1점), 가평 설악면 화야산(1점), 충남 예산(수덕산)덕숭산(2점), 충남 예산.홍성 용봉산. 양평 양자산(1점), 포천 관음산(1점) 대전 만인산(10점)- 40좌 산행

 *** 현재 점수 : 95점    

 

 

 

 

 

 

 

 

 

 

 

 

 

 

 

 

 

 

 

 

 

 

 

 

 

 

 

 

 

 

 

'산행길' 카테고리의 다른 글

100대 명산  (0) 2012.05.29
가평 명지산-연인산 종주  (0) 2012.05.28
포천 - 관음산  (0) 2012.05.06
양평 양자산  (0) 2012.04.29
용봉산  (0) 2012.04.17

 

  1. 산행지 : 관음산(7339m) 경기 포천

2. 참석자 : 옥영수, 김성준(비신청), 최병규, 박성근(비단우, 100좌 도전)

3. 산행일시 : 2012년 5월 5일(토)

4. 개요 : 전철 의정부역에서 박성근 친구를 만나 포천가는 버스를 타고 포천시청에서 내린다. 옥영수선배부부를 만나 옥영수선배 자가용으로 관음산으로 간다. 입구에 차를 세우고 들머리를 잡는다. 3~4채의 민가가 있는 곳으로 들어선다. 사유지라 일반인들 산행을 막고 있는데 그 길로 오른다. 인적이 드문곳이다. 오르는 동안 산행객들을 만나 볼 수 없다. 그만큼 알려져 있지않는 관음산이다. 오르면서 다래순도 따고 옷순도 따고 등선을 올라 보지만 우거진 나무들의 가려저서 경관을 제대로 구경할 수 없다. 정상에 오르니 관음산 표지목이 시야에 들어온다. 표지목이 모 산악회에서 10년전에 세워 놓은 것인데 흔들거리고 글씨도 희미하게 바래있고..표지석을 놓으면 좋으련만 아쉬움을 남긴다. 옷순을 넣고 끊인 라면맛이 일품이다. 막걸리와 오디주를 한잔하며 맛난 점심을 해결한다. 하산하면서 다래순도 따고 두릅도 따고..관음산의 산행을 마친다. 도로가 막힌다. 무봉리에 와서 순대국에 막걸리 한잔한다..      


*** (서울) 최병규 산행지 : 충북 양성산(전국대회10점), 인천 계양산(1점), 서울 북한산(필수5점)), 동두천 소요산(1점), 가평 청우산(1점), 강화도 마니산(필수5점), 지리산 천왕봉(필수5점), 반야봉(타지역2점), 노고단(타지역2점), 만복대(타지역2점), 바래봉(타지역2점),강화도 고려산(1점), 가평 중미산(1점), 가평 유명산(1점), 서울 불암산(1점), 서울 수락산(1점), 양주 불곡산(1점), 서울 관악산(1점), 춘천 검봉산(1점), 춘천 봉화산(1점), 정선 민둥산(1점), 부산 금정산(전국대회 10점), 양평 청계산(1점), 강원 태백산(5점), 가평 운악산(1점), 남양주 운길산(1점), 남양주 예봉산(1점), 천안 성거산(2점), 천안 흑성산(2점), 춘천 금병산(1점), 포천-남양주 주금산(1점), 충북제천 금수산(5점), 가평,남양주 축령산(1점), 가평 설악 곡달산(1점), 가평 설악면 화야산(1점), 충남 예산(수덕산)덕숭산(2점), 충남 예산.홍성 용봉산(2점). 양평 양자산(1점), 경기 포천 관음산(1점) - 39좌 산행

 *** 현재 점수 : 85점   

 

 

 

 

 

 

 

 

 

 

 

 

 

 

 

 

 

 

 

 

 

 

 

 

 

 

 

 

 

 

 

 

 

 

 

'산행길'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가평 명지산-연인산 종주  (0) 2012.05.28
흥사단YKA산악회 1,000회차 산행을 다녀온다.  (0) 2012.05.14
양평 양자산  (0) 2012.04.29
용봉산  (0) 2012.04.17
덕숭산  (0) 2012.04.17

1. 산행지 : 양자산(709m) 경기 양평 성덕리

2. 참석자 : 최병규, 옥영수,  박성근(비단우, 100좌 도전)

3. 산행일시 : 2012년 4월 28일(토)

4. 개요 : 양평과 여주에 걸처있는 양자산을 옥영수 선배 박성근 친구와 산행한다. 양평까지 전철을 이용하고 양평버스터미널에서 성덕리가는 버스로 성덕(아치지)고개에서 내린다.(성덕리와 항금리  경계지점 이정표는 항금리로 되어있다.) 버스정류장이 아닌데 기사님에게 얘기를 하니 친절하게도 정차해주신다. 성덕고개에서 양자산 정상 까지는 2km 거리다. 대략 시간은 1시간 정도.. 들머리 초입을 오르다 쑥이 눈에 들어와 조금 캔다. 그리고 좀더 오르다 옷나무 순이 있어서 딴다. 날씨는 쾌청하니 좋은데 황사가 엺게 낀다는 일기예보가 있어서 그런지 시계는 맑지가 못하다. 정상에 올라 인증삿을 찍고 날머리를 대곡(큰골)로 잡는다. 이길은 인적이 드문곳이다. 하산중에 두릅을 발견한다. 신나게 채취한다. 계곡에 내려와 맑은 물소리를 들으며 아까 채취한 쑥과 옷순과 두릅을 넣고 라면을 끓이고 박성근이 싸온 보신고기를 데워 먹는 맛이 일품이다. 거기다 오디주와 야관문주.. 버스 시간을 맞처 송덕3리(큰골) 정류장으로 오는데 버스가 횅하니 지나간다. 아뿔사 ..2시간은 기다려야 하는데.. 좀전에 나물 캐러온 아주머니가 마실 물 있냐고 해서 물 한통을 준 아주머니가 도로에서 나물을 캐고 있는데 어디가냐고 해서 서울간다고 하니 어주머니 일행은 성남간다 하신다. 태워주신다 하신다. 아저씨가 차를 몰고 와서 그 차를 타고 성남 산성역가지 타고 온다. 산성역에서 전철을 타고 옥영수 선배와 나는 가락시장에서 내려 3호선을 가라타고 오고 박성근은 잠실역으로 가서 2호선을 타고 간다.. 

전철 중앙선 청량리역에서 8시39분발 용문행을 탄다. 양평역에 9시50분경에 도착 양평버스터미널에 10시5분경 도착 10시30분에 성덕리행 버스탑승 성덕고개(아치지)에 11시7분에 도착 11시10분에 산행시작 중간에 쑥과 옷순 채취 시간과 쉬는 시간 포함 양자산 도착시간 12시30분경에 도착 대곡(큰골)으로 하산 중 두릅 채취 계곡아래에서 점심 15시57분에 성덕3리(큰골)버스정류장 도착하는데 버스 출발함 버스 놓침..성남오는 자가용 얻어타고 성암 산성역에 내림 전철타고 가락시장에서 3호선 타고 옴 

 

*** (서울) 최병규 산행지 : 충북 양성산(전국대회10점), 인천 계양산(1점), 서울 북한산(필수5점)), 동두천 소요산(1점), 가평 청우산(1점), 강화도 마니산(필수5점), 지리산 천왕봉(필수5점), 반야봉(타지역2점), 노고단(타지역2점), 만복대(타지역2점), 바래봉(타지역2점),강화도 고려산(1점), 가평 중미산(1점), 가평 유명산(1점), 서울 불암산(1점), 서울 수락산(1점), 양주 불곡산(1점), 서울 관악산(1점), 춘천 검봉산(1점), 춘천 봉화산(1점), 정선 민둥산(1점), 부산 금정산(전국대회 10점), 양평 청계산(1점), 강원 태백산(5점), 가평 운악산(1점), 남양주 운길산(1점), 남양주 예봉산(1점), 천안 성거산(2점), 천안 흑성산(2점), 춘천 금병산(1점), 포천-남양주 주금산(1점), 충북제천 금수산(5점), 가평,남양주 축령산(1점), 가평 설악 곡달산(1점), 가평 설악면 화야산(1점), 충남 예산 덕숭산(수덕산)2점, 충남 예산.홍성 용봉산. 경기양평 양자산(1점) - 38좌 산행

 *** 현재 점수 : 84점

 

 

 

 

 

 

 

 

 

 

 

 

 

 

 

 

 

 

 

 

 

 

 

 

 

 

 

 

 

 

 

 

 

 

 

 

 

 

 

 

 

 

 

 

 

 

 

 

'산행길' 카테고리의 다른 글

흥사단YKA산악회 1,000회차 산행을 다녀온다.  (0) 2012.05.14
포천 - 관음산  (0) 2012.05.06
용봉산  (0) 2012.04.17
덕숭산  (0) 2012.04.17
화야산  (0) 2012.04.10

1. 산행지 : 용봉산(368m) 충남 예산.홍성

2. 참석자 : 최병규 그리고 온라인산악회원45명

3. 산행일시 : 2012년 4월 15일

4. 개요 : 용봉초주차장(12시45분)-미륵암-투석봉-용봉산정상(14:13)-최영장군활터-사자바위-노적봉-악귀봉-임간휴게소-홍성신경리 마애석불-전망대(병풍바위)-가루실고개-둔리-육괴정(수덕고개)(17시5분)

육괴정(수덕고개)에서 버스를 타고 용봉초등학교입구 내려 등산로를 따라 조금 오르다 자리를 잡고 점심을 먹는다. 점심을 먹고 바로 오르는 산행은 힘들다. 낮은 산인데도 땀 많이 흘린다. 정상에서 보는 용봉산 주변의 운치는 정말 대단하다. 최영장군활터 아래는 충남조청이 들어서는 소재지다. 언제쯤 완공될려는지.. 용봉산은 100대 명산에 들어가도 섭섭하지 않을 터인데 용봉산의 약점이 물이 없다는 것이다. 하산할 때까지 중간에 샘을 찾을 수 없다 그래서 100대 명산에 들어가지 못한다. 수암산 까지 종주하려했으나 시간부족으로 일부 회원들은 가루실고개에서 둔리로 하산한다. 그리고 육괴정까지 도로를 걷는다.

*** (서울) 최병규 산행지 : 충북 양성산(전국대회10점), 인천 계양산(1점), 서울 북한산(필수5점)), 동두천 소요산(1점), 가평 청우산(1점), 강화도 마니산(필수5점), 지리산 천왕봉(필수5점), 반야봉(타지역2점), 노고단(타지역2점), 만복대(타지역2점), 바래봉(타지역2점),강화도 고려산(1점), 가평 중미산(1점), 가평 유명산(1점), 서울 불암산(1점), 서울 수락산(1점), 양주 불곡산(1점), 서울 관악산(1점), 춘천 검봉산(1점), 춘천 봉화산(1점), 정선 민둥산(1점), 부산 금정산(전국대회 10점), 양평 청계산(1점), 강원 태백산(5점), 가평 운악산(1점), 남양주 운길산(1점), 남양주 예봉산(1점), 천안 성거산(2점), 천안 흑성산(2점), 춘천 금병산(1점), 포천-남양주 주금산(1점), 충북제천 금수산(5점), 가평,남양주 축령산(1점), 가평 설악 곡달산(1점), 가평 설악면 화야산(1점), 충남 예산 덕숭산(수덕산)2점, 충남 예산.홍성 용봉산 - 37좌 산행

 *** 현재 점수 : 83점

 

 

 

 

 

 

 

 

 

 

 

 

 

 

 

 

 

 

 

 

 

 

 

 

 

 

 

 

 

 

 

 

 

 

 

 

 

 

 

 

 

 

 

 

 

 

 

 

 

 

'산행길' 카테고리의 다른 글

포천 - 관음산  (0) 2012.05.06
양평 양자산  (0) 2012.04.29
덕숭산  (0) 2012.04.17
화야산  (0) 2012.04.10
곡달산  (0) 2012.04.10

+ Recent posts